사회 사회일반

"사고 장면 올리지마세요" SNS서 자성 목소리 커져

"고인 대한 예의 아니다" 지적

미확인 소문 유포금지 호소도





이태원 참사 현장을 담은 사진과 영상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여과없이 퍼지자 우려가 목소리가 높다. 이에 누리꾼을 중심으로 “고인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며 공유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0일 트위터·인스타그램을 비롯한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전날 발생한 사고 현장 모습이 생생하게 담긴 영상과 사진이 지속적으로 올라왔다. 좁고 비탈진 골목에 많은 인파가 몰려 오도가도 못하는 장면을 비롯해 사고 후 거리 곳곳에서 구급대원들이 심폐소생술(CPR)을 하는 모습 등 끔찍하고 처절한 장면이 모자이크 처리가 되지 않은 채 공유되고 있다.

관련기사



이에 일부 누리꾼은 “사고를 당한 가족에겐 이런 장면들이 트라우마가 될 수 있다” “고인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며 영상이나 사진을 공유하지 말자고 촉구했다. 한 트위터 이용자는 “제발 이태원 압사사고 영상 공유하지도 말고 스토리 같은데 올리지도 말자”면서 “사고현장이 적나라하게 찍힌 것을 공유해서 좋을 것 없다”고 적었다.

일부 누리꾼은 긴급한 인명구조 상황에서 구급대원을 돕기 보다 영상과 사진을 찍은 시민들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냈다. 자신이 간호사였다고 밝힌 한 SNS 이용자는 “이태원 현장에 긴급으로 나가 CPR을 하는데 주위에서 아무도 손 안 바꿔주고 영상 촬영만 하더라”며 “결국 (그분을) 살리지 못했다”고 안타까움을 전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주로 활동하는 ‘아프니까 사장이다’ 카페에는 ‘이태원 사고 관련 글 자제하길 정중히 부탁드린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해당 게시물에는 “이태원 참사 현장 사진 등 여과 없이 남기는 일부 사장님들 누군가에게는 날벼락 같은 참사”라며 “인터넷에 떠도는 자식 시신 사진을 보고 평생 못 잊을 트라우마가 될 수 있다”고 자제를 당부했다.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를 퍼나르지 말자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소셜미디어에서는 현장에 있던 사람들이 서로 "밀어"라고 하면서 사고를 키웠다는 주장과 이번 사고에 마약이 연관돼 있다는 소문 등이 유포됐다. 사고 현장에 있었다는 한 누리꾼은 자신의 SNS에 “자극적인 글과 영상만 믿지 말라”면서 "다들 어떻게든 구하려 했고 숨죽이며 사고 현장을 보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