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찰, 이태원 압사 참사 수사 본격화 …"목격자 44명·CCTV영상 52건 확보"

SNS 영상물도 정밀 분석…국과수 합동 감식도

다만 주최 측 없어 법죄 혐의 적용 검토 '고심'

30일 새벽 경찰 과학수사대원 등이 인명사고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연합뉴스30일 새벽 경찰 과학수사대원 등이 인명사고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연합뉴스




이태원 압사 참사 희생자 신원 작업이 마무리되면서 경찰이 사고 진상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은 목격자 및 부상자, 인근 상인 등 진술과 인근 폐쇄회로(CC)TV를 분석해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31일 밝혔다.

남구준 국가수사본부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총 475명으로 수사본부를 편성해 목격자 조사와 CCTV 영상 분석 등을 통해 사고 경위를 면밀히 확인 중"이라며 "현재까지 목격자 44명을 조사했고 공공 CCTV는 물론 사설 CCTV까지 총 42개소 52건을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이외에도 사고와 관련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영상물도 정밀 분석인 중이다. 국민적 관심이 큰 참사였던 만큼 경찰은 추가 목격자 조사와 영상 분석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태원 압사 참사를 수사 중인 서울경찰청 수사본부는 이날 오후 2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과 함께 사고 현장에서 합동감식도 진행한다. 경찰은 사망자가 집중된 해밀톤 호텔 옆 골목길을 중심으로 인근 도로와 가게 등을 감식해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게 된 경위를 집중적으로 조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다만 사고가 특정 주최 측이 존재하지 않고 발생한 만큼 경찰은 현재까지는 범죄 혐의 적용을 검토할 만한 입건 대상은 별도로 지정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특히 사고의 법적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가리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SNS를 통해 사고 원인과 관련 목격담이 확산하고 있지만 수많은 인파가 몰린 만큼 당사자를 특정하기 어렵고, 사고와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제기된 의혹들이 사안별로 모두 달라서 진술과 영상을 토대로 사안별로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용산구청 등 관할 지자체가 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사고 경위와 안전조치 적정성에 대해 면밀히 확인 중"이라며 원론적 답변을 반복했다. 사고와 마약 사이 연관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는 마약 관련 보고가 없다"고 밝혔다. 남 본부장은 사망자 부검과 관련해 "사고가 공개된 장소에서 발생했고 CCTV 등 다수의 영상이 존재해 부검 필요성은 높지 않다"며 "유족이 희망한 경우 부검을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남 본부장은 고인 명예훼손이나 개인정보 유출 행위가 발생한 경우 엄정하게 수사하겠다고 했다.

남 본부장은 "명예훼손 등 게시글 6건에 대해 관할 시·도경찰청에 입건 전 조사(내사)를 지시했다"며 "악의적인 허위·비방글과 피해자 신상정보 유포 행위는 고소 접수 전이라도 수사착수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