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9월 생산·소비·투자 모두 하락…경기 회복 이끌던 소비마저 '불안'

생산 0.6% 줄어…태풍 영향에 감소 폭 ↑

소매판매·서비스업 생산 모두 줄어 소비 불안

투자까지 감소세로 전환 "불확실성 크다"

지난 21일 오후 부산항 신선대·감만 부두의 모습. 연합뉴스지난 21일 오후 부산항 신선대·감만 부두의 모습. 연합뉴스




9월 생산과 소비·투자 활동이 일제히 하락하는 ‘트리플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최근 한국 경제의 회복을 이끌던 소비마저 불안한 조짐을 보이고 있어 향후 경기 흐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전(全)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 대비 0.6% 감소했다. 설비 투자는 전월 대비 2.4%, 소비는 1.8% 떨어져 지난 7월에 이어 두 달만에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생산은 7월(-0.2%), 8월(-0.1%)에 이어 세 달 연속 감소했다. 특히 9월에는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포스코 등 일부 제철소가 가동을 중단하며 감소 폭이 커졌다.

관련기사



문제는 태풍 영향을 따로 떼어 내 보더라도 생산이 부진하다는 점이다. 중국의 봉쇄 조치 장기화와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IT 수요 부진으로 반도체 경기가 좀처럼 회복되지 못한 탓이다. 9월 반도체 생산은 전월 대비 4.5% 감소했고, 재고는 전년 동월 대비 54.7% 늘었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경제 회복 흐름을 견인한다고 평가되는 소비도 불안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9월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1.8% 감소했다.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로 간절기 의류 판매가 줄며 준내구재 판매가 3.7% 줄었고, 추석 효과도 사라지며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5.0% 떨어진 영향이 크다.

통계청은 줄곧 내수가 탄탄하다고 평가했다. ‘재화의 판매’를 의미하는 소매판매는 줄었지만, 서비스업 매출(서비스업 생산)은 늘어나며 소비 전체 상황은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이번에는 서비스업 생산도 전월보다 0.3% 떨어졌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 8월 서비스업 생산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있다”면서도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으로 소비 회복이 제한되거나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투자가 전월 대비 2.4% 감소한 것은 반도체 경기 부진으로 특수산업용 기계 등 기계류 투자가 6.6% 줄어든 영향이 컸다. 다만 지난달 투자(전월 대비 10.4% 증가) 상황이 좋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해 투자 부진에 대한 과대 해석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게 통계청의 진단이다.

다만 향후 경기 흐름에 대한 기대를 보면 투자도 당분간 불안한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8월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코스피 지수, 장단기 금리차 등 금융시장 여건이 좋지 않은 영향이 크다. 어 심의관은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의 봉쇄 조치 장기화와 주요국의 긴축 가속화 등 대외 이슈를 중심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있는 상태”라며 “세계 경기 둔화 우려로 우리 수출과 제조업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우려도 있어 향후 경기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