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생활비 모자라"…노인 50%, 연금 받아도 '나홀로' 창업·취업

■전경련 55~79세 노후실태 분석

연금받고 일하는 고령자 5년새 47% 증가

연금수령액, 은퇴 후 최소생활비 64% 불과

젊은 자영업자는 줄어드는데 노인만 늘어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이 지난 9월 30일 서울 용산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제26회 노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인사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이 지난 9월 30일 서울 용산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제26회 노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인사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연금을 받는 고령자 중 절반가량이 생활비 부족으로 일을 놓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이들의 수는 최근 초고령화 추세에 힘입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통계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2017년부터 올해까지 ‘55~79세 고령인구의 노후실태 및 취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5월 기준 연금을 받으면서도 일을 계속하는 55~79세 고령 인구는 370만 3000명이었다. 연금을 받는 고령 인구의 49.7%에 달하는 수치다.

이들의 수는 2017년 252만 4000명보다 46.7% 증가한 수준이었다. 연금을 받는 고령 인구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43.8%에서 5.9%포인트 더 늘어났다.



국민·기초·개인연금 등을 모두 포함한 공·사적 연금 월평균 수령액은 2인 기준 138만 원으로 드러났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조사한 은퇴 후 최소 생활비인 월 216만원의 64% 수준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55~79세 고령인구의 68.5%는 장래에도 근로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이유로는 57.1%가 ‘생활비에 보탬’이라고 응답했다.

은퇴 이후 생계를 이어나가기 위해 창업 전선에 뛰어든 고령자도 증가했다.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2017년 159만 2000명에서 올해 193만 3000명으로 21.4%나 증가했다. 이는 15세 이상 전체 자영업자 수가 2017년 573만 3000명에서 2021년 555만 명으로 3.2% 감소한 추세와 정반대 양상이다.

지난해 60세 이상 자영업자 87.2%는 고용원이 없는 ‘나홀로’ 자영업자였다. 고용원 없는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2017년 137만 1000명에서 2021년 168만 5000명으로 22.9% 늘어났다.

2019년 기준 월평균 영업이익이 최저임금(주 40시간 기준 174만 5000원)보다 낮은 소상공인 비중을 살펴보면 60세 이상이 53.6%에 달했다.

한국의 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7.5%다. 3년 뒤인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된다. 노인 인구 증가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빠르다. 그러면서 노인빈곤율은 2020년 기준 40.4%로 OECD 조사대상 37개국 중 가장 높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미래 세대의 노인 부양 부담이 매우 커질 것”이라며 “노후소득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공적연금의 재정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세제 혜택 강화 등 사적연금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