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대왕고래의 '비극'…매일 1000만개 미세플라스틱 먹는다

미세플라스틱 밀집된 수심에서 먹이 섭취하기 때문

크릴새우 먹을수록 미세플라스틱 비율 높아…"인간도 흡수 우려"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현존하는 가장 큰 동물인 대왕고래의 경우 하루에 미세플라스틱을 최대 1000만 조각 먹는 등 고래들의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과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F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샤이럴 카헤인-라포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 혹등고래가 매일 엄청난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샌프란시스코 남부의 몬터레이만, 채널제도와 패럴론스 및 코델 뱅크 국립 해양보호구역에 서식하는 고래 191마리의 등에 위성 송신기가 달린 전자식 꼬리표를 부착해 얻은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대왕고래는 하루에 최대 1000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3.6㎏에 달하는 양이다. 1년으로 기간을 늘린다면 대왕고래는 약 10억 조각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등이 미세하게 분해돼 만들어진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다.

관련기사



고래가 많은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 이유는 먹이를 섭취할 때의 수심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고래는 대부분 미세플라스틱이 밀집된 수심 50∼250m 깊이에서 먹이를 섭취하기 때문이다.

또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진 크릴새우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삼는 고래일수록 체내 미세플라스틱 비율이 높았다.

청어나 멸치와 같은 생선을 먹는 혹등고래는 하루에 미세플라스틱을 약 20만 개 섭취하는 반면, 크릴새우를 주로 먹는 혹등고래는 100만 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다.

연구팀은 고래가 먹이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을 흡수한다는 사실은 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카헤인-라포트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인간에게 걱정스러운 일이다. 왜냐하면 크릴새우는 먹이 사슬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에 있으며 인간은 크릴새우를 먹는 멸치와 정어리를 먹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고래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다.

박민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