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조선·반도체·미래차 "5년 뒤에도 일손 부족"

경총, 주력산업 415개사 설문

"훈련프로그램 등 지원 필요"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반도체, 미래차, 조선(친환경 선박), 바이오·헬스 등 미래 신주력산업 대부분이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다는 조사를 8일 발표했다. 특히 미래 주력산업 기업들은 생산 인력이 가장 부족해 5년 뒤에도 문제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하고 있는데 정책 당국의 기업형 맞춤형 훈련프로그램 지원 등 정책 시행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총은 미래 신주력산업 기업 415개사(응답기업 기준)를 대상으로 인력 수급 상황 체감조사를 시행한 결과 응답 기업의 절반가량이 인력 부족을 경험했다는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미래 주력산업 인력 수급 상황체감 조사에 따르면 인력이 부족하다는 응답은 조선업종이 5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반도체(45%), 미래차(43%), 바이오헬스(29%) 순으로 높게 조사됐다.



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에 대해 조선업과 반도체는 ‘고용 이후 잦은 이직·퇴직’ 응답이 가장 많았고 미래차와 바이오헬스 분야는 ‘해당 분야 경력직 지원자 부족’을 꼽았다.

특히 신주력 산업별 기업 모두 ‘생산직무’ 인력 부족이 가장 심각하다고 답했다. 또한 5년 후 네 가지 핵심직무별 인력 수급 전망에서도 조선·반도체·미래차 인력 부족 기업들은 5년이 지나도 생산직무 분야에서 인력 부족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답했다.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정책으로 조선·반도체·바이오헬스 기업들은 ‘인력 채용 비용 지원’ 정책이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다. 미래차 기업들은 ‘기업 맞춤형 훈련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지원 확대’에 대한 답을 가장 많이 했다. 임영태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반도체·미래차를 비롯해 미래 신주력산업을 선도할 인재는 우리 경제 재도약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현장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와 고용 규제 완화로 현장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으로 인적자본을 축적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