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GS칼텍스 '2.7조 MFC' 준공…"종합 에너지기업 도약"

여수2공장 인근서 준공식

틸렌 年 75만톤 등 생산력 갖춰

非정유사업 비중 늘려 구조 개선

허세홍 사장 "사업 다각화 전환점"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이 11일 전남 여수2공장 인근에 위치한 MFC시설 준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GS칼텍스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이 11일 전남 여수2공장 인근에 위치한 MFC시설 준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GS칼텍스




GS(078930)칼텍스가 창사 이래 최대 투자 금액인 2조 7000억 원을 들여 올레핀 생산시설(MFC)을 준공했다. GS칼텍스는 이를 계기로 정유 중심 회사에서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본격 도약하겠다고 선언했다.



GS칼텍스는 11일 전남 여수2공장 인근에서 MFC 준공식을 개최하고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변신하겠다는 포부를 천명했다. GS칼텍스는 이번 MFC 준공으로 연간 에틸렌 75만 톤, 폴리에틸렌 50만 톤, 프로필렌 41만 톤, 혼합C4유분 24만 톤, 열분해 가솔린 41만 톤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됐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MFC 준공은 비정유 사업 비중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사업 다각화와 성장성을 동시에 이루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정유 사업에 석유화학, 친환경 에너지, 자원 재활용까지 포괄하는 종합 에너지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GS칼텍스는 MFC가 나프타만 원료로 투입하는 기존 나프타분해시설(NCC)보다 경쟁력이 높다고 강조했다. MFC는 나프타는 물론 정유 공정에서 생산되는 액화석유가스(LPG), 석유정제 가스 등 다른 유분까지 원료로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 고도화 시설에서 발생하는 석유정제 가스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어 같은 생산능력을 가진 석유화학 시설보다 에너지 사용량을 약 10%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GS칼텍스는 MFC가 나프타와 석유정제 가스를 원료로 수소를 생산해 액화천연가스(LNG) 사용량을 줄이는 것도 강점으로 꼽았다. MFC가 이를 통해 감축할 수 있는 탄소 배출량만 연간 7만 6000톤에 달한다.

GS칼텍스는 나아가 MFC에 단위별 국내 최대인 연 15만 톤 규모의 가열로 총 5기를 설치했다. 지하 배관과 주요 장치를 추가 건설해 향후 공장 증설에도 대비했다. 앞으로 연 100만 톤 이상 수준으로 증산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GS칼텍스는 MFC에서 생산하는 대표 제품인 에틸렌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시장에도 진출한다. 이를 위해 MFC와 연계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정을 설치했다. 이 공정 역시 단위별 국내 최대인 연 50만 톤 규모를 적용했다.

GS칼텍스는 이번 MFC 준공을 토대로 석유화학 분야를 확대해 비정유 부문 비중을 늘리는 사업 구조 전환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유가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손익 변동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에너지전환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추진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는 데도 MFC가 핵심적인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허 사장은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다양한 제품으로 대응할 힘을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을 적극 개발해 최고 수준의 석유화학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GS칼텍스가 11일 전남 여수2공장 인근에서 개최한 MFC시설 준공식에서 김영규(왼쪽부터) 여수시의회 의장, 박주선 대한석유협회 회장, 김회재 의원(전남 여수을), 허태수 GS그룹 회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허세홍 GS칼텍스 사장, 박일준 산업부 2차관,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 정기명 여수시장, 빌 스톤 셰브런합작사 대표가 생산시설 출범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 제공=GS칼텍스GS칼텍스가 11일 전남 여수2공장 인근에서 개최한 MFC시설 준공식에서 김영규(왼쪽부터) 여수시의회 의장, 박주선 대한석유협회 회장, 김회재 의원(전남 여수을), 허태수 GS그룹 회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허세홍 GS칼텍스 사장, 박일준 산업부 2차관,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 정기명 여수시장, 빌 스톤 셰브런합작사 대표가 생산시설 출범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 제공=GS칼텍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