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전문가 절반 “韓경제, 2008년 금융위기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

경총, 경제·경영학과 교수 204명 설문

회복 시점은 “2024년 이후에나”

80% "내년 성장률 2% 못 미쳐"

사진 제공=경총사진 제공=경총




경제 전문가 절반이 현재 한국의 경제 상황을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수준으로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대학 경제·경영학과 교수 204명을 대상으로 최근 경제 상황과 2023년 경제 전망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52.7%가 현 경제 상황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렵다’고 진단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중 ‘2008년 위기 때와 비슷하다’는 답이 27.1%였고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정도는 아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더 어렵다’는 답이 18.7% 나왔다. ‘IMF 외환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렵다’는 답도 6.9%나 됐다.

관련기사



어려운 경제 상황의 주된 원인으로는 57.4%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패권 다툼, 에너지 가격 등 전 세계적 경제·정치 리스크’를 꼽았다. ‘대외 의존적인 우리 경제·산업 구조(24.0%)’ ‘정책 당국의 신속한 위기 대응 미흡(11.3%)’ ‘글로벌 스탠더드에 뒤처진 법·제도(7.4%)’ 등이 뒤를 이었다.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두고 ‘1.5% 초과~2.0% 이하’라는 예상이 66.2%, ‘1.5% 이하’라는 전망이 13.2%로 79.4%가 2.0%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2.0% 초과~2.5% 이하는 20.6%에 그쳤다.

한국 경제가 회복되는 시점으로는 53.9%가 2024년, 24.0%가 2025년 이후를 꼽아 2024년 이후라는 전망(77.9%)이 우세했다. 내년에 회복이 예상된다는 의견은 22.1%에 불과했다.

국내 기준금리에 대해서는 이번 금리 상승기 한은 전망치인 3.50% 수준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44.1%로 가장 높았다. 당분간 현행 수준(3.00%)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27.0%, 인하해야 한다는 의견은 5.9%였으며 한은 전망치보다 더 높여야 한다는 답변은 23.0%를 차지했다.

물가 상승률 정점은 내년 1분기라는 예상이 47.1%로 가장 많았다. 내년 2분기 이후는 31.9%, 올해 4분기가 정점이라는 의견은 17.2%였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