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리콜 사태 이어 검찰 기소까지…반등 꾀하던 쿠첸 '먹구름'

검찰, 쿠첸 하도급법 위반 혐의 기소

실적 개선 꾀하던 상황에서 대형 악재

리콜 사태 때처럼 재무구조 악화 불가피

박재순 쿠첸 대표가 지난 8월 23일 천안 신축 공장 준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쿠첸박재순 쿠첸 대표가 지난 8월 23일 천안 신축 공장 준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쿠첸




국내 밥솥시장 2위 업체인 쿠첸이 하도급법 위반으로 재판에 넘겨지면서 위기를 맞았다. 30년 만에 새 공장을 세우며 흑자 전환을 꾀했지만 리콜 사태에 이어 갑질 의혹까지 일면서 기업 이미지는 물론 실적에도 타격이 우려된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한 쿠첸의 실적은 올 들어 개선될 기미가 보이는 상황이었다. 쿠첸 모회사인 부방의 반기보고서를 보면 쿠첸의 상반기 순손익은 1억3300만원으로 1년 전(16억원 순손익) 대비 크게 개선됐다. 매출액도 같은 기간 802억원에서 855억원으로 늘었다. 부방의 영업손실이 지난해 상반기 24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10억원 흑자로 전환된 점을 고려하면 쿠첸의 영업손실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올 들어 물가 급등에 집밥 수요가 늘었고 1인가구·신혼부부를 공략한 제품군이 인기를 끌면서 쿠첸의 손실폭이 줄어드는 듯했지만 법적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부담이 커졌다. 서울중앙지검은 지난 1일 납품 단가 인상을 요구한 하도급업체와의 거래를 끊을 목적으로 해당사의 기술자료를 경쟁사에 넘긴 혐의로 쿠첸 법인과 담당 직원을 하도급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검찰이 일부 직원의 일탈이 아닌 회사의 조직적 범행으로 판단한 것이다.

경쟁사인 쿠쿠가 시장 포화에 대응해 수년 전부터 에어프라이어, 음식물청소기, 무선청소기, 공기청정기, 펫드라이룸으로 제품군을 확대하며 종합가전사로 변신한 반면 쿠첸은 밥솥·전기레인지에 집중하며 고성능·고급화 전략을 고수해 왔다. 불경기에도 연간 1000억원 내외의 영업이익을 낸 쿠쿠와 달리 쿠첸이 적자 늪에 허덕이면서 업계에서는 쿠첸의 전략 실패라는 평가가 나왔다. 게다가 올해 초에는 취사 중 뚜껑 열림 결함으로 대표 제품 리콜 사태가 벌어지며 신뢰도에도 금이 갔다.

쿠첸은 올해 8월 1992년 천안공장 가동 이후 30년 만에 연간 100만대 생산이 가능한 공장을 신축하며 분위기 반전에 나섰다. 박재순 쿠첸 대표는 준공식에서 “2025년까지 공정을 자동화해 매출 5000억원, 영업이익률 5%를 달성하고 주방가전 톱5에 진입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적 반등을 꾀하던 쿠첸이 이번 사태로 기업 이미지는 물론 실적도 타격을 입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4월 쿠첸을 검찰에 고발하면서 과징금 9억2200만원을 부과한 데 이어 재판 결과에 따라 고액 벌금 등 형사처벌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리콜 사태 때 32억원의 충당금이 회계상 부채로 잡히면서 쿠첸의 영업손실이 대폭 늘어난 바 있다. 사측은 “아직 사태 파악 중에 있다”며 “구체적인 실적은 밝히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