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윗선은 참사 책임 안지나"…일선서 '못해먹겠다' 반발

용산서 중간간부 극단 선택에

'꼬리 자르기 수사' 논란 확산

이태원 참사 원인을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지난 2일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 8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있다. 연합뉴스이태원 참사 원인을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지난 2일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 8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안전사고 정보보고서를 삭제했다는 의혹으로 수사를 받던 정 모(55) 전 서울용산경찰서 정보계장이 숨지면서 일선 경찰관들이 격앙된 모습이다.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일선 경찰을 대상으로 ‘꼬리 자르기’식 수사를 벌이고 있다는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13일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에 따르면 정 씨는 특수본 소환 조사를 앞두고 지난 9일 대기발령 돼 조사를 받던 중 11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특수본은 정보계장인 정 씨와 그 상관인 김 모 전 용산서 정보과장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증거인멸·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지난 7일 입건해 조사 중이었다. 특수본은 정 씨가 이태원 참사 발생 후 핼러윈 기간 안전을 우려하는 내용의 정보보고서를 부당하게 삭제하고 이 과정에서 직원들을 회유했다는 의혹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었다.

관련기사



정 씨의 사망에 대해 이태원 참사 당일 현장에서 사고를 수습했던 일선 경찰들을 대상으로 무리한 수사를 벌인 결과가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자신이 경찰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서 “경찰 못 해먹겠다. 모든 사회 불만 해결은 경찰에게만 떠넘길 것 같다”는 글을 올렸다. 자신을 이태원파출소 경찰의 가족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도 “말단 직원들 탓으로 돌리고 문책 하려는 분위기가 강하다”면서 “밤새 심폐소생술을 하며 한 사람이라도 더 살리려고 했던 경찰에게 결국 사고의 책임을 돌리니 마음이 아프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부의 이태원 참사 대처 방식에 대해 시민들의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온라인 상에서 누리꾼들은 정 씨의 사망에 대해 “윗선은 책임지지 않고 아랫사람에게만 책임을 물린 결과”라거나 “있어서는 안 될 안타까운 죽음”이라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실제 한국갤럽이 지난 8~10일 사흘간 전국 18세 이상 1006명에게 이태원 참사 정부 대응에 대해 물은 결과 70%의 응답자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들 중 20%는 ‘책임회피·꼬리자르기·남탓’을 그 이유로 들었다. 그 외에는 ‘늦장 대처(17%)’, ‘무방비·사전 대응 미흡(14%)’, ‘경찰 잘못·인력 배치 문제(11%)’, ‘안전 시스템 부재·지휘 체계 부실(6%)’, ‘신고·민원 묵살(4%)’ 등을 꼽았다.

한편 이태원 참사 이후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경찰들의 심리적 충격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경찰청은 이태원 사고 현장에 출동했던 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극복을 지원하고 있다. 전날까지 총 215명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심리치료를 했다. 또 현장 지원업무를 수행했던 용산경찰서 직원들의 심리적 압박감을 고려해 오는 14일부터 25일까지 전문 상담사를 상주시켜 심리치료를 지원할 예정이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