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고혈압 등 ACSC 환자 100명 중 4명만 입원까지 간다

심평원·분당서울대병원, “국내 일차 의료 질 향상”

ACSC 입원율 2008년 5.0%→2019년 4.2%로 ↓

교신저자 이진용 심사평가연구소장. 사진 제공=심평원교신저자 이진용 심사평가연구소장. 사진 제공=심평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분당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은 심사평가원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동 연구를 통해 지난 12년 간 국내 일차 의료 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일차 의료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미국 보건의료연구소(AHRQ)가 제안한 외래진료 민감질환(ACSC) 입원율을 사용했다.

ACSC는 효과적인 외래 의료서비스를 적기 제공할 경우 질환 발생을 예방하거나, 이미 발병한 경우 이를 조기에 치료·관리함으로써 입원율을 낮출 수 있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ACSC 입원율이 낮을수록 해당 국가의 일차의료 질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는 국내 일차의료 질 현황과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됐다.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9세 이상 ACSC(고혈압, 당뇨, 만성폐쇄성폐질환 및 천식, 심부전, 폐렴, 요로감염) 환자 약 1232만명을 대상으로 예방 가능한 입원율 추이를 분석했다.

관련기사



연구 결과 지난 12년간 전체 ACSC 입원율은 2008년 5.0%에서 2019년 4.2%로 감소했다. 전반적인 일차 의료 질은 향상된 것이다.

질환별로 보면, 고혈압(1.4→0.8%) 당뇨(5.8→3.3%), 만성폐쇄성폐질환 및 천식(4.1→3.2%) 입원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심부전 역시 2012년 이후 소폭 상승했지만 2008년 대비 감소했다(11.4→10.8%). 다만 이 기간 폐렴(24.5%→28.1%), 요로감염(5.7%→6.4%) 입원율은 오히려 증가했다.

연구팀 교신저자 이혜진 교수는 “지난 12년 간 국내 일차 의료의 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점은 긍정적”이라며 “의료 질 적정성 평가와 만성질환관리제 등 정책적으로 지속 관리하던 고혈압·당뇨·천식 및 만성폐쇄성질환의 입원율 감소는 의미가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 교신저자 이진용 심사평가연구소장은 “의료 급여 환자의 입원율이 매년 감소하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건강보험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으로, 의료 체계 간 유기적 연계와 관리를 통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폐렴은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위험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입원율 증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해 일차 의료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연세 메디컬 저널(Yonsei Medical Journal, YMJ)’에 게재됐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