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中이 역할" "北의향 관건"…尹·習 평행선

■25분만에 끝난 한중 정상회담

2년11개월만에 회담…입장 못좁혀

尹 "상호존중 통한 역내 평화 필요"

習 '한국의 印太전략' 우회적 우려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현지 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현지 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한중정상회담을 열고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중국의 역할을 촉구했다. 시 주석은 “북한이 (윤 대통령의 담대한 구상에 스스로) 호응해야 한다”며 중국의 역할론에 대해 윤 대통령과는 다른 시각을 드러냈다. 공동선언이 빠진 두 정상의 첫 정상회담은 양국의 입장을 확인한 채 25분 만에 끝났고 차기 회담을 조율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발리에서 한중정상회담을 통해 시 주석에게 “3월 통화와 8월 한중 수교 30주년 축하 서한을 교환하면서 새로운 한중 협력의 시대를 열어가자는 데 공감했다”며 “우리 정부는 중국과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상호 존중과 호혜에 기반한 성숙한 한중 관계를 위해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제·인적 교류를 포함해 한반도 및 역내 평화와 안정, 나아가 기후변화와 에너지 안보 같은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도 함께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시 주석은 “세계가 새로운 격동의 변혁기에 접어들고 국제사회가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한 지금 (양국은) 이사할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 수 없는 파트너”라며 “지역 평화를 유지하고 세계 번영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책임이 있으며 광범위한 이익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2019년 12월 이후 2년 11개월 만에 열린 이번 한중정상회담은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과 임박한 제7차 핵실험으로 동북아 정세가 요동치는 가운데 진행됐다. 한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밝히며 미국의 대중(對中) 견제 대열에 합류하고 한미일이 공동성명을 통해 동북아 지역의 안보 삼각 공조를 강화하자 조율 중이던 한중정상회담에 대한 논의는 급물살을 탔고 결국 성사됐다.

양 정상은 첫 회담에서 최대 현안인 북한 문제에 의견 차만 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북한의 비핵화를 대가로 경제적 지원을 하는 ‘담대한 구상’을 설명하며 “안보리 상임이사국이자 인접국으로서 중국이 더욱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 주석은 “북한의 의향이 관건”이라며 역할론에 선을 그었다.

시 주석은 또 윤 대통령에게 “진정한 다자주의를 함께 만들자”며 미국의 대중 견제 대열에 참여하기 위해 윤 대통령이 밝힌 인도태평양 전략을 우회적으로 겨냥했다. 또 한국이 참여하기로 한 대중 반도체 협의체인 칩4에 대해서도 “글로벌 공급망 안정을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구경우 기자·발리=김남균 기자·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