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진석 "동의 없는 명단 공개는 폭력이자 선동"

민들레에 "기본 중 기본도 안 지켜"

"법적, 도의적 책임 물어야"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청정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인증제도 도입방안 토론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청정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인증제도 도입방안 토론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6일 ‘이태원 압사 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한 온라인 매체인 민들레를 향해 “언론을 자처했으나 언론의 책임감은 조금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시민언론 빙자한 비열한 선동, 엄정 처벌해야’라는 제목의 글에서 “인터넷 매체 민들레의 정체가 무엇이고 이들이 희생자들을 이용해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지 엄정하게 법적, 도의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번 명단 공개가 유족 동의 없이 이뤄진 점을 지적했다. 정 위원장은 “이 매체는 유튜브 채널 ‘더탐사’와 협업을 거쳤다면서 이름 공개를 원치 않는 유족께서는 이메일로 연락을 주시면 반영토록 하겠다고 했다. 기본 중의 기본도 지키지 않고 일단 공개할 테니 원치 않으면 사후에 연락하라는 태도를 취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정 위원장은 이전 대형 참사에서 사망자 명단이 공개돼왔다는 주장에는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어 “세월호 참사의 경우 희생자의 신원 확인을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고 유가족들도 동의했으며 취재진들 사이에서도 꼭 필요한 범위 이상으로 희생자들의 이름과 신원이 퍼지지 않도록 주의하는 암묵적인 합의가 이루어지고 지켜졌다”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일부 외신에서 희생자 사연이 소개된 것에 대해선 “책임 있는 언론이 정상적인 취재과정을 거쳐 취재원의 동의를 받아 사연을 소개하는 것과 출처 모를 명단을 동의도 없이 공개하는 것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며 “전자는 취재고 후자는 폭력이요, 선동”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 극심한 고통 속에 있는 분들을 이용했다는 점에서 언론과 정치의 탈을 쓴 가장 비열하고 반인권적인 폭력”이라고 거듭 비판했다.

정 위원장은 특히 “이들이 공개한 준비위원 명단에는 김민웅 촛불행동 대표,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 등이, 칼럼진으로는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이 이름을 올렸다”며 “모두 정치적 편향성을 강하게 보여온 인물들”이라고 강조했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