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상용화에 중요한 요소들을 짚어보다 보면 미국, 중국 다음으로 한국이 보인다 하더라고요.”
최근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 현황을 취재하러 온 일본 공영방송 다큐멘터리 제작자에게 들었다며, 국내 자율주행 기술 기업 관계자가 전해준 말이다. 자율주행에 관한 한 미국과 중국이 패권을 쥐고 있지만 5G 통신망, 반도체 생산 기술, 완성차 업체, 물류망 등 한국이 갖춘 기반을 고려할 때 양국 다음으로 기술을 상용화할 가능성을 갖췄다는 말이다.
이렇듯 여러 층위가 결합한 국내 자율주행 기술이 시범 사업 행태로 국내 도로를 누비고 있다. 가까이는 이달 내 종로 청계천 주변에서 정식 운행될 자율주행 버스에 기대가 모인다. 아무래도 그간 사업들에 비해 서울 도심 한가운데에서 진행되는 만큼 접근성이 높은 데다 운용할 수요응답형(DRT) 버스 역시 기존 공산품을 개조한 게 아니라 설계 단계부터 자율주행 전용으로 개발됐기 때문이다.
흔히 자율주행의 미래를 막아선 허들이라 하면, 기술적 한계를 먼저 떠올리게 마련이지만, 의외의 부분에서 고충이 있다. 바로 차선 구획이나 도로 표지판 정비, 도로 주변 단속과 같은 일상적인 것들이다. 지자체나 정부 역할과 관련된 이러한 디테일이 기술 고도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기술도 기술이지만 이런 것들이 갖춰져 있지 않으면 초보 운전자들이 운전에 어려움을 느끼듯, 자율주행 알고리즘 역시 불법 주정차 차량, 애매한 차선, 불법 꼬리물기와 같은 것들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기술이 충분히 무르익은 다음에야 이런 사정도 문제가 없겠지만 지금처럼 기술 초기 단계에는 이런 부문에서 지자체나 정부 보조가 중요하다는 게 업계의 시선이다.
불법 주·정차와 꼬리물기, 무단 횡단이 빈번한 청계천 거리 일대를 거닐다 보면 자율주행 버스가 시작부터 ‘장애물 끝판왕’을 만나 시민들의 불신이나 오해를 키우게 되는 건 아닐까 우려된다. 자율주행 경쟁국인 미국, 중국보다 땅덩이가 좁은 우리로서는 도로 체계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어렵게 만들어진 자율주행 알고리즘이 보다 정비된 환경에서 시민들을 만날 수 있도록 보조가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