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집한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 생산”…LG화학, 탄소저감 설비 구축

독자 기술로 국내 최초 DRM 설비 상업화

대산에 파일럿 건설 후 2026년까지 확대

LG화학 충남 대산 공장 전경. 사진제공=LG화학LG화학 충남 대산 공장 전경.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051910)이 공장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와 부생가스인 메탄을 사용해 플라스틱을 만드는 메탄건식개질(DRM : Dry Reforming of Methane)설비를 구축한다고 17일 밝혔다.



DRM은 이산화탄소·포집·활용(CCU) 기술의 한 종류로 기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0% 이상 줄이고 주요 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는 탄소저감 설비다. LG화학은 이번 DRM 공장을 외부 라이선스 기술이 아닌 자체 기술로 구축하고 이산화탄소 전환에 핵심이 되는 촉매까지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관련기사



자체 기술 기반의 공정과 촉매까지 적용해 DRM 설비를 상업화하는 것은 LG화학이 국내 최초다. 지금까지 DRM은 운전 시 촉매 성능이 빠르게 낮아지는 문제로 상업화가 어려웠지만 LG화학은 촉매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했다.

DRM 설비는 2023년까지 충남 대산 공장에 1000톤 파일럿 공장으로 건설 후 독자기술로 개발된 공정 기술과 촉매를 검증하고 2026년까지 규모를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지난 2019년 고부가 사업인 촉매 생산 기술을 내재화하기 위해 촉매 사업을 담당하는 조직을 신설했다.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LG화학은 전통적인 석유화학 산업 구조에 머무르지 않고 전 세계 화학산업의 탄소 저감 및 지속 가능한 혁신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