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英도 '반도체 통제권' 강화…中업체에 "英기업 지분 매각하라"

"국가안보 우려" 넥스페리아에

뉴포트웨이퍼팹 지분 처분명령

넥스페리아 "잘못된 결정" 반발

연합뉴스연합뉴스




영국 정부가 국가 안보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영국 최대 반도체 제조 업체 지분을 보유한 중국 기업에 지분 대부분을 매각하라고 명령했다. 세계 각국이 반도체와 같은 핵심 산업에서 자국의 통제권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16일(현지 시간) CNBC에 따르면 그랜트 섑스 영국 산업부 장관은 반도체 생산 업체 넥스페리아에 “웨일스에 위치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 뉴포트웨이퍼팹(NWF)의 지분 대부분을 매각하라”고 명령했다. 넥스페리아는 네덜란드에 기반을 두지만 중국 윙테크가 소유한 기업이다. NWF의 지분 14%를 보유했던 넥스페리아는 지난해 7월 지분을 100%까지 끌어올렸다.

관련기사



NWF는 매달 약 3만 2000개의 실리콘 웨이퍼를 생산하는 영국 최대의 반도체 제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섑스 장관은 “넥스페리아가 NFW의 지분 최소 86%를 특정 기간 안에 매각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성장과 일자리를 뒷받침하는 외국의 투자를 환영한다. 하지만 국가 안보에 위험이 된다고 판단하면 주저하지 않고 행동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넥스페리아는 즉각 반발했다. 토니 베르슬라위스 넥스페리아 영국 매니저는 “이번 결정은 잘못된 것”이라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그동안 영국 정부·의회 관계자들은 전 세계 반도체 부족 현상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중국에 영국의 반도체 기업이나 공장 지분을 파는 데 대한 우려를 제기해왔다. 이에 영국 정부는 올해 초 넥스페리아의 NFW 인수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결정은 최근 세계 각국이 반도체와 같은 전략산업에 대한 자국의 통제권을 강화하는 추세의 일환이다. CNBC는 “이미 영국이 화웨이의 5세대(5G) 장비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조치로 영국과 중국의 관계가 안 좋아진 가운데 이번 결정으로 양국 관계가 더 불편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