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물부족 사태 대비"… 삼성전자 반도체 공정에 재처리 하수 日 47만톤 공급

환경부 30일 삼성 공엽용수 공급 협약

2030년 하수처리수를 재처리해 공급

하루 총 47.4만 톤 규모 공업용수 확보

지자체, 한수원 등 10개 기관들 참여

관로설치비 6000억 분담은 사후 결정

[평택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평택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삼성전자가 오는 2030년부터 경기도 지역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처리수를 자사의 고덕·기흥 반도체 공장 등의 공업용수로 사용한다. 기후 변화로 인한 물 부족 사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하수처리수 재이용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서다.

관련기사



18일 평택시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하기 위한 협약을 오는 30일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과 체결한다. 해당 협약식은 환경부가 주관하며 경기도 및 5개 시(수원, 오산, 용인, 평택, 화성),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삼성전자 DS부문 등 10개 기관이 당사자로 참여한다.

이번 협약 내용은 경기도 내 협약 지역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공업용수를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 공업용수로 공급하는 것이다. 협약 지자체들은 오는 2030년부터 용인 수지(7만6000톤)와 기흥(2만6000톤)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하루 10만2000톤 규모의 처리수를 다시 정화해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에 공급하고, 수원(28만 톤)·화성 동탄2(4만2000톤)·오산(5만 톤)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하루 37만2000톤의 처리수를 삼성전자 고덕사업장에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협약 체결후 해당 기관들은 정기적으로 실무 회의를 열고 재이용수 공급을 위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처리수 공급을 위한 관로 솔치비를 누가 어떤 방식을 분담할지는 추수 논의를 거쳐 결정된다. 해당 지자체들이 삼성전자 사업장에 하수처리수를 공급하기 위해선 각 하수처리장에서 기흥·고덕 사업장까지 약 60㎞에 달하는 전용 공급 관로가 필요하다. 시설 설치에만 해도 6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