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은건 이재명뿐…檢 '경제 공동체' 입증할까

◆정진상 구속 후 첫 조사

李 연관성 추궁에 "혐의 인정 못해"

오늘 남욱·24일엔 김만배 풀려나

폭로전땐 '판도라 상자' 열릴 듯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이 지난 18일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이 지난 18일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이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신병을 연이어 확보하면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직접 수사하기 위한 채비를 마쳤다. 구속된 이들은 검찰이 이 대표와 ‘정치 공동체’라고 의심하는 최측근들이다. 검찰이 이른바 ‘대장동팀’과 이들 사이에 특혜·뇌물이 오가는 과정을 이 대표가 인지했는지 또 지시가 있었는지를 집중 수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들이 정치 공동체를 넘어 경제적으로도 ‘한 몸’으로 움직였는지까지 파헤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엄희준 부장검사)는 20일 서울구치소에서 수감 중인 정 실장을 불러 조사했다. 정 실장 구속 후 진행된 첫 조사다. 서울중앙지법 김세용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앞서 19일 새벽 “증거인멸·도망 우려가 있다”며 정 실장에 대한 구속 영장을 발부했다.

검찰은 정 실장에 대한 구속 영장에 ‘대장동 일당의 요구 사항이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정 실장을 거쳐 이 대표에게 전달돼 성남시 의사결정에 반영됐다’는 취지의 내용을 담았다. 정 실장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남욱 변호사 등으로부터 총 1억4000만 원을 수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하고, 2015년 2월 김 부원장과 유 전 본부장과 함께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 씨로부터 대장동 사업 수익 가운데 428억 원을 받기로 했다는 혐의(부정처사후수뢰)를 받는다. 검찰은 또 정 실에게 부패방지법 위반과 증거인멸교사 등 혐의도 적용했다.



검찰은 정 실장을 상대로 한 이날 조사에서 구속영장에 적시된 각종 혐의를 재확인하고, 이 과정에 이 대표가 관여했는지 등을 집중 추궁했다. 정 실장은 ‘모든 혐의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정 실장 측 변호인은 이날 ‘구속적부심을 신청할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내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 조사 과정에서 검찰이 유 전 본부장이나 남 변호사 등과 대질신문을 한다면 거부하지 않겠다는 뜻도 전했다. 다만 정 실장 혐의에 대해서는 “그동안 적극적으로 설명했고, 더 설명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이는 혐의를 부인한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 유리창에 태극기와 검찰청 깃발이 반사돼 비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 유리창에 태극기와 검찰청 깃발이 반사돼 비치고 있다. 연합뉴스


법조계 안팎에서는 김 부원장과 정 실장이 구속되면서 이 대표를 겨냥한 검찰 수사폭이 한층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법원이 구속영장을 발부하면서 검찰은 오는 28일까지 정 실장에 대한 구속 수사가 가능하다. 한 차례 연장할 경우 최대 20일 동안 구속 수사할 수 있다. 김 부원장 사례를 고려하면 검찰은 거의 매일 정 실장을 소환해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구속기한 만료로 석방되는 남 변호사와 김 씨가 앞서 풀려난 유 전 본부장과 마찬가지로 ‘폭탄발언’을 쏟아낼 경우 ‘판도라의 상자’가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남 변호사가 석방되는 건 21일 0시 이후다. 김 씨의 경우 24일 0시가 지나면 풀려난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수감자의 경우 조사 때마다 구치소에서 데리고 오고, 증언에 따른 자료 조사도 수사팀 몫이라 수사하는데 시일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다”며 “차츰 입을 열고 있는 피의자가 석방돼 자유 의지에 따라 증언·증거를 내놓을 때에는 수사에 한층 속도가 붙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 실장은 혐의를 부인하고, 석방되는 남 변호사 등은 외부에서는 각종 증거·증언을 쏟아내는 모습이 연출될 수 있을 것”이라며 “검찰은 양측 조사 내용을 토대로 이른바 ‘혐의 다지기’를 충분히 한 뒤 정기국회 회기가 끝나는 연말께 이 대표를 소환 조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