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경련 “글로벌 ESG공급망 실사 대비해야…업종별 대응 절실”

“ESG 실사는 국경 아닌 업종 간 문제”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사진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사진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글로벌 주요국들이 공급망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실사 의무 시행을 앞둔 상황에서 기업들이 업종에 맞는 실사에 대비해야 한다고 24일 촉구했다.

관련기사



전경련은 ‘주요국 공급망 ESG 관리 정책 동향 및 모범사례’ 보고서를 내고 “ESG 실사는 국경의 문제가 아닌 업종 간의 문제”라며 “업종별로 상이한 실사 이슈를 파악해 기업이 스스로 업종에 맞는 실사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지난 2월 유럽에서 영업하는 기업의 노동·인권·환경 등 ESG 실사를 의무화하는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 초안을 발표했다. 향후 입법이 완료되면 대상 기업은 역내 기업만 1만2800개, 역외까지 포함하면 1만6800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내년 시행 예정인 독일의 공급망 실사법은 인권 보호와 환경 영향에 중점을 둔 공급망 실사를 골자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 위반 시 800만유로(약 111억4000만원) 또는 세계 연 매출의 최대 2%까지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분쟁 광물 조달, 공급망 상에서의 환경적 영향이 주요 실사 이슈로 꼽힌다. 세계적 패션 기업인 자라와 나이키는 강제노동, 아동노동 등 노동 인권 실사가 중점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전경련은 정부가 역량이 부족한 중견·중소기업을 위한 지원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준호 전경련 ESG 팀장은 “미국과 EU는 반도체 공급망 모니터링을 위한 조기 경보 메커니즘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라며 “주요국과의 ESG 실사 공동 대응 체계 마련이 효율적인 대비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