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글로벌 불확실성 지속에…“내년 소매시장, 코로나 이전보다 부진할 것”

대한상의 ‘2023 유통산업 전망 조사’ 발표

내년 소매시장, 올해 대비 1.8% 성장 전망

소비심리 위축·금리 인상·고물가 등 원인 꼽혀

지난 5일 서울 이마트 성수점 설날 선물 판매 코너. 연합뉴스지난 5일 서울 이마트 성수점 설날 선물 판매 코너. 연합뉴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내년 국내 소매시장의 성장세가 코로나19 이전보다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백화점·대형마트·온라인 등 5개 소매유통업 300개사 대상 ‘2023 유통산업 전망 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내년 소매시장은 올해 대비 1.8%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 전망치가 나온 데 대해 대한상의는 “코로나 기저효과와 엔데믹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고물가, 고금리 등 소비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내년에도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 예상되면서 업계가 내년 소매경기를 낙관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내년 소매시장 전망에 대해 응답자의 44.7%가 긍정적 평가를, 55.3%는 부정적 평가를 했다.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그 이유로 △코로나 종식(63.4%) △소비심리 회복(50.0%) △러-우크라이나 전쟁 종결(34.3%) △가계부채 부담 완화(16.4%) △미국발 긴축금융 완화(14.9%) 등을 차례로 꼽았다.

반면 부정적으로 평가한 사람들은 △소비심리 위축(51.8%) △금리 인상(47.0%) △고물가(40.4%) △글로벌 경기침체(26.5%) △소득 불안(18.7%) 등을 그 이유로 들어 내년에도 대외내 불확실성과 리스크가 해소되지 못해 소비자들이 더욱 지갑을 닫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업태별로는 온라인쇼핑(4.6%), 백화점(4.2%), 편의점(2.1%)은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대형마트(-0.8%), 슈퍼마켓(-0.1%)은 고전할 것으로 예상됐다. 대형마트의 경우 △경쟁업태와의 경쟁심화(83.8%) △물가상승에 따른 구매력 감소(75.7%) △1~2인 가족 증가에 따른 소량구매 트렌드 확산(48.6%) 등이 부정적 전망의 이유로 꼽혔다. 슈퍼마켓도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악화(96.6%) △온라인·편의점과의 경쟁심화(65.6%) △일상회복에 따른 근거리소비 감소(34.5%) △출점·영업시간규제 지속(20.7%) 등이 이유로 제시됐다.

기업들이 내년 역점을 두고 추진할 전략으로는 △비용절감(31.3%)을 가장 많이 꼽았고 △온라인사업 강화(17.3%) △점포 리뉴얼(16.7%) △가격할인 등 프로모션 강화(11.3%) 등을 차례로 들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유통산업이야말로 기술, 사회, 소비자 변화에 빠르게 대응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며“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응역량을 지속적으로 키워나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