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한류 활용해 관광시장 확대 …‘K컬처 연수 비자’ 나온다

국무총리 주재 국가관광전략회의 개최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워케이션(일+휴가) 비자’와 ‘K컬처 연수 비자’가 신설된다. 정부는 K컬처를 적극 활용하는 동시에 규제 완화 등을 통해 2027년까지 외래 관광객 3000만 명, 관광 수입 3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한 ‘제6차 관광진흥기본계획(2023~2027년)’을 12일 공개했다.

정부는 이날 문화체육관광부 등 유관 부처가 참석한 가운데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 청계천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에서 열린 ‘제7차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이를 확정했다. 회의의 슬로건은 ‘K컬처와 함께하는 관광 매력 국가’다. 한 총리는 “문화유산과 한류 등 풍부한 관광자원을 통해 ‘경험하고 싶은 대한민국’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우선 2023~2024년을 ‘한국 방문의 해’로 추진하기로 하고 이날 선포식을 가졌다. 이를 위해 ‘K컬처의 본국, 한국으로’라는 표어로 뉴욕·도쿄를 비롯한 세계 50개국 도시에서 ‘K관광 로드쇼’를 진행한다. 또 완전 개방된 청와대를 중심으로 경복궁과 북촌·서촌 등을 묶어 ‘역사문화관광 클러스터’로 조성한다.



‘입국 장벽’ 논란을 일으켰던 전자여행허가제(K-ETA) 자체는 존속시키기로 하되 외국인의 입출국 편의를 위해 K-ETA에 ‘단체 정보 일괄 등록’ 기능을 추가하고 기존의 영어에 더해 일본어·중국어도 지원하도록 시스템을 수정하기로 했다. 또 현재 기업 포상 관광에 한정된 동남아 국가의 단체 전자 비자를 일반 단체까지 확대해 발급 기간을 단축하고 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를 대상으로 무안공항 입국 무비자 특례를 신설한다.

관련기사



특히 신설되는 ‘워케이션 비자’는 외국인이 자국의 고용을 유지하며 1~2년 한국에서 체류할 수 있고 ‘K컬처 연수 비자’는 한류 등 K콘텐츠 교육을 위해 방한한 외국인 청소년들이 대상이다.

호텔 업계를 대상으로 교통유발부담금 인하를 검토하는 것과 함께 구인난 해소를 위해 해외 인력 고용 규제도 일부 완화하기로 했다. 2027년까지 관광 기업 육성 펀드 5000억 원을 조성하고 관광기업지원센터를 국내의 경우 현재 8개소에서 14개소로, 해외는 현재 1개소에서 10개소로 늘린다.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는 ‘여행이음카드’를 2024년까지 도입한다. 여행이음카드는 정부와 지자체·민간기업이 지원하던 여행 관련 혜택을 마일리지로 모아 지원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남부 지방인 부산·광주·울산·전남·경남을 대상으로 ‘K관광 휴양벨트’를 2033년까지 추진하고 예술과 첨단 기술이 융합된 관광 콘텐츠를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섬 5개소를 선정해 4년간 약 500억 원을 투입해 ‘가고 싶은 K관광 섬’으로 조성한다.

여행 업계 관계자는 “당장 필요한 여행업 손실보상이나 K-ETA 폐지 등 이슈가 포함되지 않아 아쉽다”고 말했다.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