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장문 트윗 가능?…머스크 "글자 수 280 → 4000자로 늘릴 것"

"트위터가 글자 수를 280자에서 4000자로 늘리려고 한다는데 사실이냐"는 물음에 일론 머스크가 "그렇다"고 답했다./ 트위터 갈무리




소셜미디어 트위터를 경영하는 일론 머스크가 트윗 최대 글자 수를 현행 280자에서 4000자로 늘리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11일(현지시간) 머스크는 트위터 사용자 앨런 오바레가 “트위터가 글자 수를 280자에서 4000자로 늘리려고 한다는데 사실이냐”고 묻자 “그렇다”고 짧게 답했다. 다만 구체적 내용 등 다른 언급은 하지 않았다.

앞서 트위터는 2006년 7월 서비스를 개시한 이후 10여 년간 트윗 최대 자수를 휴대전화 단문메시지(SMS)와 똑같은 140자로 제한하다가, 2017년 11월 이를 280자로 늘렸다. 이는 모두 한 글자에 1바이트를 쓰는 영문 기준 글자 수로, 한글의 경우 한 음절당 2바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절반인 140자까지 작성할 수 있다.

'장문 트윗' 풍자하는 합성사진. 트위터 갈무리'장문 트윗' 풍자하는 합성사진. 트위터 갈무리



이 같은 머스크의 답에 일부 사용자들은 “짧은 글로 소통하는 트위터의 특성과 장점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관련기사



유명한 게임 개발자인 리처드 개리엇은 오바레와 머스크가 대화한 트윗에 “트윗의 짧은 형식을 확장하지 말아 달라”고 답장을 달았다.

그는 “내가 페이스북이나 다른 서비스보다 트윗을 (더 즐겨) 이용하는 이유는, 아무도 기다란 질문을 할 수가 없고 아무도 기다란 답변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라며 “일단 형식이 길어지게 되면 양측 소통에서 간결함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한 사용자는 해당 트윗에 세로로 매우 긴 전화기로 장문의 트윗을 작성하는 합성사진을 올려 이를 풍자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트위터가 트윗 자수 제한을 4000자로 대폭 늘리더라도 이를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료 서비스 ‘트위터 블루’ 사용자 등 일부에게만 특별 기능으로 제공하려고 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강사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