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10월 정기 예·적금 46조 늘어 역대 최대

시중 통화량 3758조로 소폭 늘어





올 10월 은행 간 예금 확보 경쟁으로 시중 자금이 수시 입출식 저축성 예금에서 정기 예적금으로 대거 쏠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13일 한국은행은 10월 광의통화량(M2) 잔액이 3757조 9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13조 8000억 원(0.4%) 증가했다고 밝혔다. 9월(0.0%) 증가세가 주춤했으나 한 달 만에 증가 폭이 소폭 확대된 것이다. M2는 시중 통화량을 보여주는 지표로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 입출금식 예금(이상 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양도성예금증서(CD)·환매조건부채권(RP)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 상품을 포함한다.



M2가 늘어난 것은 시중 자금이 수시 입출식 저축성 예금(M1)에서 정기 예적금(M2)으로 이동한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10월 은행 간 수신금리 인상 경쟁이 벌어지면서 금리를 조금 더 높게 주는 정기 예적금으로 자금 쏠림 현상이 발생한 바 있다. 주식 등 각종 자산에 묶였던 자금도 예적금으로 넘어오면서 유동성 집계에 포함된 영향도 있다.

관련기사



상품별로 살펴보면 금리 상승과 안전자산 선호 현상 지속으로 정기 예적금이 45조 9000억 원 급증했다. 2001년 통계 편제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직전 최대였던 8월(34조 1000억 원) 수준을 크게 뛰어넘는다. 반면 수시 입출식 저축성 예금은 16조 1000억 원이 줄었고 요구불예금도 8조 7000억 원 감소했다.

기업과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통화량은 각각 9조 2000억 원, 7조 5000억 원 증가했다.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통화량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반면 증권·보험사 등 기타 금융기관은 금전 신탁과 MMF를 중심으로 13조 8000억 원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보험사의 보험 지급금을 위한 유동성 확보 과정에서 통화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좁은 의미의 통화량을 보여주는 M1은 1294조 7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1.9%(24조 8000억 원) 줄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5% 감소하면서 9월(-0.4%)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