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금리인상에 영끌 매수 끝…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 역대 최저

2030 매입 비중 전년대비 3.0% 하락

사라진 영끌족…지난해는 역대 최고치 찍어

2019년~2022년 전국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1~10월). 경제만랩·한국부동산원2019년~2022년 전국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1~10월). 경제만랩·한국부동산원




올해 2030세대의 주택 매입 비중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금리인상이 계속되며 대출이자 부담이 커지고, 집값 하락세가 장기간 이어질 수 있단 불안감에 젊은 세대가 주택 매입에 나서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연령별 주택매입거래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0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 44만 9967건 가운데 30대 이하의 거래는 10만 8638건으로 전체의 24.1%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9년 이래(1~10월 기준) 가장 낮은 비중이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영끌 열풍이 불면서 30대 이하의 주택 매입 비중은 27.1%에 달했지만, 올해는 주택 매입 비중이 전년 대비 3.0%포인트 줄어들었다.



30대 이하의 주택 매입 비중이 지난해보다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지역은 대전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0월 대전의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은 28.5%이었지만, 올해는 23.6%로 전년대비 4.9%포인트 감소했다.

관련기사



수도권에서 30대 이하의 주택 매입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곳은 경기였다. 지난해 1~10월 경기도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은 31.7%이었지만, 올해는 27.5%로 전년 대비 4.2%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서울은 32.1%에서 28.0%로 4.1%포인트 줄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주택 구입자들을 위해 대출 이자를 완화해주는 방안이 나오고 있지만, 주택자금 마련에 대한 부담이 커진데다 집값 하락세까지 이어져 젊은 층들의 주택 매입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곳은 ‘성동구’로 조사됐다. 지난해 1~10월 성동구의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은 43.9%이었지만, 올해에는 26.8%로 전년대비 17.1%포인트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