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시아, 동토 봉인 ‘고대 바이러스’ 연구…새 전염병 우려↑

매머드 잔해서 바이러스 되살리려 시도

"인간감염될 수도" 시설 안전성 등 의문





러시아가 영구 동토에 봉인돼 있던 고대 바이러스 연구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새로운 전염병의 세계적인 대유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에 따르면 러시아 국립 바이러스·생명공학 연구센터 벡토르의 연구진은 선사 시대 바이러스를 되살리기 위해 빙하기 동물의 잔해를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난해 시베리아 동북부 야쿠티아 지역에서 처음 시작했으며 바이러스의 진화 형태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기사



프랑스 엑스 마르세유대의 장미셸 클라베리 바이러스학 교수는 “벡토르의 연구는 아주 위험하다”며 “우리 면역 시스템은 이러한 종류의 바이러스를 맞닥뜨린 적이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바이러스 중 일부가 20만∼4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고, 매머드를 비롯한 고대 동물을 감염시킨 바이러스라면 인간 역시 감염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프랑스 연구진도 야쿠티아 영구동토에서 약 5만 년 전 호수 아래서 얼어붙은 ‘좀비 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으나 아메바에 전염성을 보이는 바이러스만이 연구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벡토르는 소련 시절 화학무기 연구소로 쓰이던 곳으로 최고 수준의 보안 시스템을 갖춘 전 세계 59곳의 바이오랩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2004년 한 연구원이 에볼라 바이러스가 묻은 바늘에 실수로 찔려 사망했고, 2019년에는 연구소에서 화재가 일어 노동자 1명 다치는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년에 한 번씩 연구소를 감사하고 있으나 실제 연구를 진행하는 모습에 대한 감사는 시설 유지보수를 이유로 이뤄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클라베리는 “벡토르의 시설이 모두 최신 시설인지 확신할 수 없다”며 연구의 안전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