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아크로리버파크도 경매법정 찬바람에 ‘유찰 굴욕’…"10명 중 9명 관망"

부동산 시장 한파에 강남 아파트 흔들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응찰자 0'에

시세 밑돈 청담 아파트도 유찰 굴욕

부동산 경매 7건에 응찰자 22명 불과

10명 중 9명 관망…"내년 이후 응찰"

"강남아파트 2회 유찰 흔해질 것"

13일 오전 11시께 서초구 서울법원종합청사2별관 입찰법정 앞에 입찰 결과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모여있다./변수연기자13일 오전 11시께 서초구 서울법원종합청사2별관 입찰법정 앞에 입찰 결과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모여있다./변수연기자




부동산 시장 한파에 강남 아파트들의 ‘유찰 굴욕’이 이어지고 있다. 신건 뿐 아니라 1~2회 유찰된 아파트들이 ‘무응찰’을 겪으며 내년 또는 내후년까지 이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17일 경매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진행된 경매 물건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끌었던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84.98㎡는 단 한 명도 응찰하지 않아 유찰됐다. 2016년 8월 입주 이후 첫 단독 명의로 경매 물건이 나와 관심은 높았지만 실제 입찰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현재 해당 평형의 최저 호가가 38억 원 선인 데 비해 최저 가격이 42억 원으로 훨씬 높기 때문이다. 이번에 유찰돼 최저 가격이 이전의 80%인 33억 6000만 원으로 낮아져야 입질이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

이미 한 차례 유찰된 강남구 청담동 현대3차 85㎡의 경우 최저가가 이전 최저가(28억 1000만 원)에서 22억 4800만 원으로 내려가면서 현재 호가 28억~30억 원보다 낮아졌지만 외면을 받았다. 이날 매각 예정이었던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145.05㎡(1회 유찰)는 매각기일이 내년 1월 31일로 변경됐다. 해를 넘겨 매각하는 것이 더 낫겠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100억 원대 강남권 꼬마빌딩은 새 주인을 찾았다.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한 해당 근린시설(건물면적 2059.44㎡)은 최저가 103억 9103만 5900원보다 30억 원 가까이 높은 133억 3333만 3333원에 낙찰됐다.

관련기사



이날 강남구 역삼동의 도로용지를 낙찰 받은 60대 남성은 “금리가 급격히 오르고 매매 심리가 위축돼 주거용 매물에 응찰하는 사람이 눈에 띄게 적어졌다”며 “앞으로 경매 낙찰가율은 더 낮아질 것 같다”고 말했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률은 32.8%로 2009년 3월(28.1%) 이후 13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강은현 EH경매연구소 소장은 “통상 10명 중 7명은 응찰자, 나머지 3명은 관전자로 보는데 최근 부동산 시장이 급랭하면서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며 “금리 인상 여파에 따른 본격적인 경매 물건 출현은 내년 하반기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강 소장은 “그때가 되면 강남아파트가 2회씩 유찰되는 것이 매우 흔한 일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법정은 개정 시간인 10시 전부터 빽빽하게 들어찼고 입찰 마감 시간인 11시 10분이 되자 개찰 결과를 보려는 사람들이 통로까지 가득 차면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어림잡아 250명가량이 모였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낙찰 건수는 전체 58건 가운데 8건에 불과했다. 자동차 1건을 제외한 부동산 물건 7건의 응찰자는 22명에 불과했다. 경매법정에 모인 인원의 90% 이상은 부동산 시장 관망자였던 셈이다. 이들은 대부분 내년 상반기 또는 하반기가 시장의 바닥일 것으로 예상했으며 관심 대상은 주로 아파트였다.

윤 모(38·서울 송파구) 씨는 “지금 두 차례 유찰된 건들의 최저 가격이 시세와 비슷해졌기 때문에 더 내려가면 내 집 마련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 같다”며 ”공부를 따로 하지는 않았지만 경매 절차가 어려운 것 같지 않아 내년 상반기에 입찰을 진행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