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폭스콘, 中 반도체 기업 칭화유니 투자 철회…1조 지분 전량 매각

7월에 대만 당국 승인 없이 지분 인수

中 반도체 견제 나선 대만 정부 반대에 백기든 듯






애플 아이폰 제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중국 반도체 대기업 칭화유니에 대한 투자를 철회키로 했다. 대만 정부의 중국 반도체에 대한 견제를 의식한 조치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17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폭스콘은 전날 밤 대만 증시에 중국 자회사 싱웨이가 최소 53억8000만 위안(약 1조 98억원)에 해당하는 칭화유니 지분을 매각하는 데 합의했다고 공시했다.

폭스콘은 “연말이 다가오는 가운데 투자는 완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며 “싱웨이가 칭화유니 보유 지분 전량을 옌타이 하이슈로 넘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분)이전이 마무리 되면 폭스콘은 더 이상 칭화유니에 간접적으로 어떠한 지분도 보유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폭스콘은 지난 7월 공시에서 사모펀드 출자 방식으로 칭화유니에 53억8000만 위안을 투자했다고 밝혔다. 이는 칭화유니 전체 인수 자금의 10%에 달하는 규모다.

사모펀드인 베이징즈루자산관리와 베이징젠광자산관리가 주축이 된 컨소시엄은 파산구조조정 절차에 들어간 칭화유니를 600억 위안(약 11조 2600억원)에 인수해 새 주인이 됐다. 베이징즈루와 베이징젠광은 민간 사모펀드지만, 실제 인수자금을 댄 곳에는 중국의 여러 지방정부와 국유기업들이 대거 포함돼 있어 사실상 중국 당국이 칭화유니 살리기에 나선 것이며 폭스콘이 동참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이에 대만 정부는 폭스콘에 2500만 대만달러의 벌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강한 대응을 시사했고, 결국 폭스콘이 백기를 든 것으로 보인다.

양안 관계가 최악으로 전락한 상황에서 대만 정부는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대만 법은 국가 안보와 산업 발전에 대한 고려를 근거로 중국에 투자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