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원전·방산기술 노리는 北…"사이버공격 더 거세질 것"

국정원 '내년 5대 위협 전망' 발표

탈취 가상자산 1조5000억 넘어





북한이 원전과 방산 기술을 노리고 내년 대남 사이버 공격을 강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1월 노동당 대회를 통해 국방공업발전 전략 목표를 제시한 뒤 원전·방산 기술 탈취 시도가 증가한 것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을 싣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22일 경기도 판교 제2테크노밸리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5대 사이버 안보 위협 전망’을 발표했다.



국정원은 “내년에 북한·중국 등 국가 배후 해킹 조직은 우리의 원자력·우주·반도체·방위산업 관련 첨단 기술과 한미 대북 정책 전략을 수집하기 위해 해킹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북한은 국가경제개발계획 3년 차를 맞아 이를 완수하기 위한 기술 자료 절취를 지속하면서 외교 안보 정보 수집에도 열을 올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국정원은 “과거 북한이 남북 관계 악화 시 또는 핵실험 후 정부와 금융망을 대상으로 사이버 테러를 자행했던 것을 고려하면 군사 도발, 대남 비방과 연계한 사이버 사보타주(파괴 공작) 공격이 우려된다”며 “‘카카오 사태’ 등 민간 데이터센터(IDC) 화재의 파급력을 학습한 해킹 조직이 사회 혼란을 노리고 주요 기반 시스템에 대한 파괴적 사이버 공격을 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가짜’ 항복 동영상이 떠 돌듯 북한도 딥페이크를 활용해 허위 영상을 유포하는 등 대남 공작을 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백종욱 국정원 3차장은 “북한은 역대 핵실험 직후 국제사회의 제재에 대한 반발로 사이버 공격을 하는 패턴을 보였다”며 대북 제재 강화에 따른 사이버 공격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김 위원장이 8차 당대회에서 핵무기 소형화와 전술무기화 촉진 등을 지시한 후 관련 정보를 훔치려는 공격이 늘었냐는 물음에는 “아무래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답했다. 대통령과 장관의 휴대폰이 타깃이 될 수 있냐는 질문에도 “그런 분들에 대한 공격이 있을 것이라는 걸 늘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한편 북한이 2017년부터 전 세계에서 탈취한 가상자산 규모를 1조 5000억 원으로 추산했다. 올해만 8000억 원을 훔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남한은 ‘특정 금융 거래 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덕분에 가상자산 거래가 실명제로 전환되는 등 보안이 강화돼 올해는 피해가 없었지만 2017년 이후 누적 피해액은 1000억 원 이상이라고 덧붙였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