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6호 발사는 산 넘어 산이에요. 우리 우주선이 달까지 가는 시대가 왔지만 정작 발사체(로켓) 독립 없이는 위성 하나조차 우리 하늘로 쏘아 올릴 수 없는 설움은 여전히 반복될 겁니다.”
올해 인공위성 아리랑 6호 관련 취재를 할 때마다 꾸준히 들은 말이다. 올해는 한국의 첫 달 탐사선 다누리가 항행에 성공한 기념비적인 해였지만 동시에 외산 로켓 의존도 100% 국가의 한계를 재확인한 해이기도 했다.
아리랑 6호는 임무 수명 기한을 4년이나 넘긴 5호를 하루빨리 대체해야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연내 발사 계획이 무산됐다. 정부는 러시아 대신 미국 스페이스X나 유럽 아리안스페이스와 대체 발사 계약을 추진 중이지만 이마저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스페이스X는 위성 성능 시험과 관련한 문제, 아리안스페이스는 최근 발사 실패의 영향 때문이다. 계약이 이뤄진다고 해도 위성을 해외 발사장까지 옮겨야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세계적으로 수 톤에 달하는 대형 위성의 대부분은 ‘안토노프’라는 화물 수송기로 옮겨지는데 하필이면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의 것이라 수리 문제로 공급에 차질을 겪고 있다.
아리랑 6호만의 일이 아니다. 차세대 중형 위성 1호가 코로나19 사태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발사가 미뤄졌고 최근 이노스페이스의 한국 첫 민간 로켓 발사 도전은 ‘브라질 발사장의 문제’로 불발되는 등 대외 변수로 우리 우주개발 계획이 차질을 빚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대로라면 내년 발사 예정인 아리랑 7호 등도 순연될 우려가 있다.
이런 점에서 정부는 올해를 다누리가 비상(飛上)한 해가 아닌 아리랑 6호가 비애(悲哀)를 겪은 해로 먼저 기억해야 한다. 지난 정부가 누리호 시험 발사로 국산 로켓 기술을 검증했다면 이제 실제 위성 발사와 민간 기술 이전을 통해 단계적인 상용화에 나서야 하는 만큼 ‘로켓 독립’의 사명이 역대 어느 정부보다 커졌다.
현 정부는 5년 내 우주개발 예산 2배 확대 등 방향은 잘 잡았다. 하지만 앞으로 국내 첫 민간 발사장 건설이나 토종 로켓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비롯해 ‘항우연 사태’ 같은 내부 리스크도 해소해야 ‘우주 강국 코리아’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