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얼어붙은 기업 체감경기…2년 2개월 만에 최저

12월 BSI 74…4개월 연속 내리막

수출경기 부진 속 내수소비도 둔화

내년 전망 지수도 한 달 새 4p 하락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수출 부진과 내수 소비 둔화 여파로 국내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넉 달 연속 하락하며 2년 2개월 만에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모든 산업의 업황 BSI는 11월(75)보다 1포인트 떨어진 74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10월(74)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BSI는 현재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업황 BSI는 지난 9월(78) 3포인트 떨어진 뒤 4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업황 BSI(71)가 3포인트 떨어졌고,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 업황 BSI(76)는 그대로 유지됐다.

관련기사



제조업에서는 글로벌 반도체·화학제품 수요 감소로 전자·영상·통신장비(-6포인트), 화학물질·제품(-11포인트) 등의 하락 폭이 컸다. 기타 기계장비(-7포인트)도 건설·철강 등 전방산업의 업황 악화 탓에 부진했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5포인트와 2포인트씩 하락했고, 수출기업(-1포인트)보다 내수기업(-5포인트)의 체감 경기가 더 크게 나빠졌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주택경기 둔화, 소비심리 위축 등의 영향으로 건설업(-6포인트)과 부동산업(-6포인트), 도소매업(-2포인트)의 업황 BSI가 떨어졌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경기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수요도 둔화하면서 기업들의 체감 업황이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내년 1월 업황에 대한 전망 BSI 지수(70)도 한 달새 4포인트나 하락했다. 제조업(68)에서 1포인트, 비제조업(72)에서 5포인트 낮아졌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