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3高 악재에 부산 소비시장 '울상'…제조업은 다소 안도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62…3분기 연속 큰 폭 하락세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94…전국 대도시 중 가장 높아


경기침체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부산지역 소비시장의 하방 압력이 심화될 전망이다. 제조업은 일부 업종에서 견조한 흐름을 보이는 등 추가적인 악화 우려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부산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23년 1분기 부산제조업과 소매유통업 경기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소비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방 압력이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업계의 체감도를 나타내는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는 1분기 ‘62’를 기록했다. 이번 지수는 2021년 1분기 ‘60’ 이후 최저치로, 최근 3분기 연속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는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현장체감경기를 조사해 지수화한 것이다. 기준지수(100)를 넘으면 이번 분기 경기가 전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 미만일 경우는 그 반대를 뜻한다.

1분기 지수가 최저치로 떨어진 것은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자산가치 하락, 이자부담 확대 등으로 민간소비 여력이 크게 줄어든데다가 올해에도 긴축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심리 위축으로 설 특수도 예년처럼 기대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확산하는 이유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설 명절 특수를 비롯해 연초 소비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1분기임에도 불구하고 경기 호전을 예상한 업체는 극히 일부에 그쳤으며 전반적인 경기침체 불안감 확산으로 실적 부진 전망이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명품, 의류, 화장품류 기반으로 성장세를 보였던 백화점도 실적 부진 전망이 우세하며 대형마트도 공공요금, 인건비 등 비용부담 확대 및 생필품 중심의 업체간 가격경쟁 심화에 따라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편의점은 간편식, 증정행사 상품 위주의 가성비 트렌드 지속에 따른 객단가 저하, 인건비를 비롯한 각종 비용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 전망이 나온다.



제조업 경기전망지수에서도 자동차·부품(93), 섬유제품(80), 의복(80), 신발(87) 등 소비와 직접 연관된 업종의 전망지수가 모두 기준치(100)를 하회한 것도 이러한 경기침체 분위기를 뒷받침 한다고 보여 진다.

관련기사



부산지역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추이./사진제공=부산상공회의소부산지역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추이./사진제공=부산상공회의소




지역 제조업의 체감경기를 가늠하는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는 ‘94’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3분기 이후 6분기 연속 기준치(100)를 밑돈 것으로 새해에도 경기 호전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다만 1분기 전망지수 ‘94’는 직전분기에 기록한 ‘78’을 크게 웃돌았을 뿐만 아니라 1분기 전국평균인 ‘74’ 보다도 크게 상회한 수치이다. 지역별로 보면 울산(85), 서울(82), 광주(81), 대전(78), 인천(64), 대구(56) 등 다른 대도시와 비교해서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반기 부산 제조업의 체감경기가 타 지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하는 대목이다.

제조업의 경기전망지수가 이처럼 높게 나타난 것은 지역 제조업이 조선 관련 업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구조적 특징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국내 조선업계가 수주 호황을 누리면서 올해부터 조선기자재를 중심으로 장비제조업, 조립금속 등 관련 업종들에 본격적인 낙수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업종의 지수도 기계·장비(125), 조선·기자재(116), 조립금속(110) 등 기준치(100)를 크게 상회했다.

경영부분별로는 매출(89), 영업이익(88), 설비투자(97), 공장가동(98) 등 지수 자체는 기준치(100)를 하회했지만 대체로 전분기인 지난해 4분기 전망치와 실적치를 상회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올해 매출 전망에서도 조사업체의 절반 이상인 55.2%가 지난해 수준의 매출은 유지할 것으로 응답했다. 10%이상 증가를 전망한 기업도 15.6%에 달했다.

투자부문 역시 조사기업의 76%가 지난해 수준의 투자를 유지할 것이라고 답한 가운데 환율은 1313원, 자금조달 금리는 4.7% 수준으로 예상하고 사업계획을 수립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지역 제조업이 가장 우려하는 위협요인은 조사기업의 32.5%가 꼽은 고물가 및 원자재가격 인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는 내수침체(23.0%), 고금리(17.2%), 원부자재 수급 불안(10.6%) 등의 순이었다. 올해 정부에 가장 바라는 지원책으로는 경기부양을 위한 금리정책(29.1%), 외환시장 안정(23.2%), 자금시장 경색 완화(19.4%), 공급망 안정화(12.2%) 등으로 나왔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고금리 여파로 기업 및 서민경제 전반에 막중한 부담이 전가되고 있으며 연 초 경기는 한해 경기를 좌우할 수 있는 만큼 과감한 금리정책과 유동성 투입을 통해 경기부양을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부산지역 제조업 250개사와 소매유통업 55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