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유료방송 만족도 보니]LGU+ 서비스·콘텐츠·셋톱 '1위'…AI 음성인식은 SKB '으뜸'

과기정통부 유료방송 평가

영상품질 등 전년과 유사

셋톱?콘텐츠 평가선 격차


지난해 유료방송 서비스 만족도에서 LG유플러스가 1위를 차지했다. LG유플러스는 셋톱·콘텐츠 만족도에서도 1위였다.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2022년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18개 유료방송사업자 서비스 단계별 이용자 만족도는 평균 61.4점을 기록한 가운데 LG유플러스가 63.7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SK브로드밴드로 63.5점, 3위는 KT로 63.4점이었다. 중소 케이블(SO)과 대형 케이블(MSO) 평균점수는 각각 61.2점과 60.5점으로 중소가 더 높았다.



영상 체감 품질에서는 전체 평균 4.55점을 기록했다. 인터넷TV(IPTV)가 4.69점으로 가장 높았고, LG유플러스와 SK브로드밴드, KT가 모두 4.7점을 기록한 가운데 LG유플러스의 점수가 근소하게 높았다. MSO와 SO의 평균 점수는 각각 4.58점과 4.49점이었다.

관련기사



올해 처음으로 진행한 셋톱박스 만족도 조사 평균점수는 60.5점이었다. IPTV가 64.4점으로 60.3점을 기록한 MSO, 59.3점을 기록한 중소SO를 큰 차이로 제쳤다. IPTV 중에서는 LG유플러스가 65.5점으로 1위였다. SK브로드밴드(64.1점), KT(63.7점)가 뒤를 이었다. AI 음성인식 셋톱에서는 SK브로드밴드(62.1점)와 KT(54.0점)의 만족도 차이가 컸다.

채널 전환시간은 전체 평균 1.48초로 전년도 1.46초와 유사했다. 셋톱박스 시작시간은 평균 2.77초로 전년 2.69초보다 0.08초 늘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탑재돼 시작시간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한다”고 했다.

역시 올해 새로 추가된 콘텐츠 만족도 항목에서는 IPTV 중 LG유플러스가 63.5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KT로 61.2점, 3위는 SK브로드밴드로 59.3점이었다. 중소SO 중 울산중앙방송과 푸른방송, 아름방송은 각각 64.7점, 61.4점, 61.1점의 콘텐츠 만족도를 기록해 IPTV와 대등한 경쟁을 펼쳤다. 18개 사업자 전체 콘텐츠 만족도 평균은 58.94점이었다.

전체 유료 VOD 한 편당 평균 광고 횟수는 0.45회, 광고 시간은 11.24초로, 전년도 0.5회, 11.10초에 비해 광고 횟수는 다소 줄어든 반면, 광고 시간은 다소 늘어났다. 올해 처음 측정한 무료 VOD 광고의 경우 평균 광고 횟수는 2.11회, 광고 시간은 66.26초로 유료 VOD 대비 약 6배의 광고시간을 편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민혁 기자 beherenow@sedaily.com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