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軍 “北무인기, 용산 촬영 제한된 듯…침범 초기 ‘긴급상황’ 아니라 판단”

합동참모본부 등 국방위 업무보고

北무인기, 상용 카메라 장착 가능성

영공 침범 초기 부대 간 상황 전파 지연

軍 "레이더 탐지·소실 반복 탓" 해명도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자료요청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자료요청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군이 지난달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가 서울 용산 일대는 촬영하지 못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26일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업무보고에서 한 달간 진행한 북한 무인기 관련 전비태세검열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에 따르면 군은 이번 무인기가 과거와 같이 상용 카메라를 장착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비행경로는 과거와 같이 사전 입력 방식으로 비행하면서 영상 촬영을 한 것으로 추정했다. 촬영 방법은 수직 직하방 촬영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합참은 “비행 고도와 과거 무인기에 장착된 상용 카메라의 성능 등을 고려 시 용산 지역 촬영은 제한됐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과거 북한 무인기들은 캐논 EOS 550D(2014년 3월 24일 파주 추락), 니콘 D800(2014년 3월 31일 백령도 추락), 소니 A7R(2017년 6월 9일 인제 추락) 등의 카메라를 달고 왔다.



무인기 침범 의도에 대해서는 “아군의 대응 능력을 시험하는 한편 우리 사회의 혼란을 조성하고, 아군의 사격에 의한 민간 피해와 우군기 피해가 발생하도록 하는 노림수도 내재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관련기사



합참은 이번 북한 무인기가 과거 무인기들과 크기와 형상이 유사하다고 봤다.

기체 앞부분의 가솔린 엔진과 프로펠러, V자 형태의 꼬리날개, 주날개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 직선익 등이 비슷하다고 평가했다. 성능은 일부 개선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김승겸 합참의장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북한 무인기의 우리 영공 침투 사태 관련 현안보고를 위해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김승겸 합참의장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북한 무인기의 우리 영공 침투 사태 관련 현안보고를 위해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보고에 따르면 지난달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 당시 전방 일선 부대에서는 이를 ‘긴급 상황’이라고 판단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6일 오전 10시 25분께 무인기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올 당시 해당 항적을 포착한 육군 1군단의 실무자가 이를 긴급 상황으로 판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상황을 ‘수시보고’ 대상으로 분류하면서 고속지령대와 고속상황전파체계 등 신속하게 상황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부대 간 상황 전파가 지연된 것은 물론이고 아예 부대 간 상황 공유 시스템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합참은 정확한 보고 시간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1군단이 상급 부대인 지상작전사령부에 유선 보고한 오전 11시 5분, 지작사가 합참에 보고한 11시 11분이 모두 지나도록 이런 체계는 사용되지 않았다.

MDL을 넘어온 이후에도 무인기가 계속 아군 레이더에 포착된 것은 아니고 탐지와 소실이 반복됐기 때문에 긴급 상황이라고 재평가하는 과정이 없었다고 군은 해명했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