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자체로 대학 예산권 이양" 61%…'수도권大 정원규제 완화' 찬반 팽팽

[2023 연중기획 - 尹정부 2년차, 4대 개혁 적기다]

2부 : 교육이 국가 미래다

<1>교육분야 국민인식조사

첨단인재 육성 VS 지역발전 저해

수도권大 정원확대 놓고 의견첨예

폐교 사립대 재산 설립자 귀속엔

65% "공공재 학교 사유화 안돼"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수도권 대학의 정원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과 관련해 찬반 여론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대학의 학생 충원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수도권 대학 정원 규제 완화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답변보다 다소 높았으나 격차는 크지 않다. 지역 대학과 지방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중앙정부가 가진 대학 예산 및 지도·감독 권한을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는 정책의 경우 국민 10명 중 6명이 찬성해 지역 균형 발전에 대한 열망과 기대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경제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교육 분야 국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대 정원 규제 완화에 대한 찬반은 각각 46.1%와 49.9%였다.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응답자는 찬성 의견이 비수도권 거주자에 비해 높았으나 반대 의견도 44%가량 됐다. 정원 규제 완화로 수도권 과밀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윤석열 정부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의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대학 설립·운영의 4대 요건을 개편해 첨단 분야 학과 신·증설 시 교원 확보율만 충족하면 학부 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했다. 정부 입장에서는 수도권정비계획법을 개정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야당과 지역 대학들의 반발이 여전히 거세다. 이에 정부는 수도권 대학들이 구조 조정으로 확보한 여유분을 활용하고 학과 간 조정 등을 통해 정원총량제 내에서 증원할 수 있는 차선책을 택했다. 대신 비수도권 대학에 대한 재정 지원을 강화해 수도권 대학으로의 쏠림을 막는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지역 대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대학 지원 권한을 확대하고 지역 주도로 재정 지원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이양하는 방안에는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했다. 대학 예산 및 지도·감독 권한을 지자체로 이양하는 것과 관련해 61.2%가 찬성했고 반대는 32.1%였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찬성 의견이 많았다. 이념 성향별로는 보수(59.0%)보다 진보(67.7%)가 지자체로의 권한 이양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사립대 폐교 시 잔여재산의 일부를 설립자에게 귀속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해 향후 대학 구조 개혁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행 사립학교법에는 사학법인이 해산할 때 별도의 정관이 없으면 학교 재산을 국고나 지자체에 귀속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한계·부실 대학의 자진 해산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정부는 사립대의 자발적 퇴로를 마련해주기 위해 해산·폐교한 학교법인의 잔여재산 중 일부를 설립자가 가져가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여당도 부실 위험이 높거나 회생이 어려운 대학의 구조 개선과 퇴로 마련을 위해 재산 처분, 사업 양도, 통폐합에 관한 특례를 부여하고 해산 시 공익·사회복지법인 등으로의 잔여재산 출연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사립대학구조개선법을 발의했다.

하지만 야당과 진보 교육계가 “대학을 부실하게 운영한 설립자에게 잔여재산을 가져가게 하면 ‘폐교 먹튀’를 양산할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는 데다 부정적인 국민 여론도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법 개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의 65.4%는 공공재인 학교 재산을 사유화하는 것이라는 이유로 설립자가 일부라도 잔여재산을 가져가는 데 대해 반대했다. 부실·한계 대학의 자진 폐교를 유도하기 위해 찬성한다는 의견은 30.8%에 그쳤다. 반대 의견은 진보 성향이 73.5%로, 보수 성향(62.4%)보다 10%포인트 이상 많았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