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2035년까지 핵탄두 3배로 늘린다

러시아처럼 핵 억지력 키워

美와 '대만 긴장' 대비 차원

시진핑(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이 2018년 6월 중국 산둥성 일대의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해군을 시찰하다 최신예 핵잠수함에 올라 장병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시진핑(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이 2018년 6월 중국 산둥성 일대의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해군을 시찰하다 최신예 핵잠수함에 올라 장병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중국이 2035년까지 핵탄두를 현재의 3배인 900발로 증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대만을 둘러싸고 고조되는 미국과의 군사적 긴장 관계에서 ‘핵 억지력’을 키워 협상력을 높이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일본 교도통신은 11일 복수의 중국 소식통을 인용해 인민해방군이 현재 300발인 핵탄두를 2027년까지 550발, 3035년까지 900발로 단계적으로 늘리는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통신은 “핵탄두 증강 계획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승인을 받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번 조치는 핵 전력을 늘려 핵 억지력을 강화하려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인민해방군의 최고지도기구인 중앙군사위원회는 지난해 11월 회의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와 정면 충돌을 피하는 것이 러시아의 핵 전력 때문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스톡홀름국제평화문제연구소(SIPRI)에 따르면 러시아는 현재 미국(5428개)보다 많은 5977개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핵 전력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로 삼았다는 의미다. 시 주석은 지난해 10월 제20차 공산당대회에서 “(핵 전력에 의한) 막강한 전략적 억지 체계를 구축한다”며 핵 전력 증강을 시사한 바 있다.

한편 최근 입적한 대만 불교계의 거목 싱원(星雲) 법사 장례 의식(13일)에 조문단을 파견하려던 중국 정부의 계획을 대만 집권 민진당이 ‘절차 미준수’를 이유로 막으면서 최근 다소 완화되는 듯했던 양안 관계에 다시 파열음이 나고 있다. 대만 측은 중국 서열 4위인 왕후닝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 중국을 방문한 대만 국민당의 샤리옌 부주석에게 “통일 위업을 이룰 것”이라고 말한 데 대해 “권위주의와 민주주의는 양립이 불가하다”고 반발하며 갈등을 빚기도 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