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명 중 1명만 "자식이 부모 모셔야"…달라진 부양인식

동의 의견, 15년 사이 53%→21%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자녀가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인식이 사라지고 있다.



15년 전엔 국민 절반 이상이 부모는 자식이 모셔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5명 가운데 1명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한국복지패널 조사·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7월 총 7865가구를 대상으로 한 제17차 한국복지패널 조사에서 ‘부모 부양의 책임은 자식에게 있다’는 의견에 응답자의 3.12%가 ‘매우 동의한다’, 18.27%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두 응답을 합쳐 21.39%만이 부모 부양의 자녀 책임에 대해 동의한 것이다.

반면 41.86%가 ‘반대한다’, 7.28%가 ‘매우 반대한다’고 응답해 절반 가까이(49.14%)가 반대 의견을 냈다. ‘동의도 반대도 하지 않는다’의 응답은 29.47%였다.

찬반 비율은 저소득 가구원(동의 20.6%, 반대 50.74%)과 일반 가구원(동의 21.53%, 반대 48.87%)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2022년 한국복지패널 조사. 연합뉴스2022년 한국복지패널 조사. 연합뉴스



이 같은 인식은 15년 전 조사 결과와 큰 차이가 있다.

관련기사



부모 부양책임에 대한 문항이 처음 들어간 2007년의 경우 ‘부모를 모실 책임이 자녀에게 있다’는 의견에 52.6%(매우 동의 12.7%, 동의 39.9%)가 동의했고, 반대 응답은 24.3%(매우 반대 1.7%, 반대 22.6%)로 그 절반에도 못 미쳤다.

3년 후 2010년 조사에선 동의 비율이 40.85%(매우 동의 7.14% 동의 33.71%)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반대 비율 36.08%(매우 반대 2.05%, 반대 34.03%)보단 높았다.

2013년 조사에서 동의가 35.45%, 반대가 36.03%로 역전됐고, 2016년엔 동의 33.2%, 반대 34.8%, 2019년엔 동의 23.34%, 반대 40.94%로 점점 격차가 벌어졌다.

이와 비슷하게 ‘어린 자녀는 집에서 어머니가 돌봐야 한다’는 의견에 대한 동의 비율도 15년 사이 점차 낮아지며 변화했다.

2007년 조사에선 ‘매우 동의’(16.4%)와 ‘동의’(48.3%)를 합쳐 64.7%가 동의했지만, 2022년 조사에선 39.6%(매우 동의 6.77%, 동의 32.83%)가 동의했다.

이는 15년 사이 가족관이나 성 역할 등에 적지 않은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노인이나 자녀의 돌봄 부담을 오롯이 가족이 졌던 과거와 달리 사회나 국가의 책임에 대한 인식이 커진 것이다.

강사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