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애플, 챗GPT 활용 이메일 앱 거부…"17세 이상으로 제한하라"

블루메일 신규 AI기능에 업데이트 차단 조치

"연령 제한하거나 콘텐츠 필터링 기능 갖춰야"

애플 로고. AP연합뉴스애플 로고. AP연합뉴스




애플이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한 이메일 앱의 업데이트 승인을 거부했다. 챗GPT 기능이 아동·청소년 사용자들에게 부적절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일(현지시간) 애플이 앱스토어에서 이메일 앱 ‘블루메일’의 업데이트 승인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블루메일은 오픈AI의 챗GPT를 적용해 이용자의 기존 메일 내용과 캘린더에 저장된 이벤트를 토대로 자동으로 이메일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AI 기능을 내놨는데, 이에 대해 차단 조치한 것이다.

관련기사



애플의 앱리뷰 팀은 블루메일 개발사인 블릭스 측에 보낸 메시지를 통해 "이 앱은 AI 생성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지만 콘텐츠 필터링 기능은 갖고 있지 않다"며 이용자 연령을 17세 이상으로 제한하거나 아니면 콘텐츠 필터링 기능을 포함할 것을 요구했다. 현재 이 앱은 4세 이상이면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블릭스 공동창업자 벤 볼락은 블루메일이 이미 콘텐츠 필터링 기능을 갖추고 있다며 애플의 요구가 부당하다고 반박했다. 그는 WSJ 인터뷰에서 챗GPT와 유사한 기능을 도입했다고 광고하는 다른 앱들은 애플 앱스토어에서 나이 제한 없이 다운로드할 수 있다며 “17세 이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면 다른 앱도 그래야 한다. 공정함을 원한다”라고 말했다.

테크 업계에선 챗GPT 등 생성AI 콘텐츠의 대한 우려가 커지자 관련 부작용에 대해 면밀히 주시하고 나섰다. 최근 오픈AI의 챗봇 기능을 탑재한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검색엔진 '빙'이 초기 테스트에서 부정확한 정보를 내놓거나 불안정하고 분노에 찬 반응을 보이면서 최신 AI 기술에 대한 논란이 커진 상황이다.

한편 WSJ에 따르면 블릭스는 과거에도 애플 앱스토어에서 앱 삭제 조치를 당하자 2019년 애플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하는 등 갈등을 빚은 전력이 있다. 현재 블루메일 앱은 구글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에서는 나이 제한 없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MS의 '빙' 스마트폰 앱의 경우 애플 앱스토어에서 17세 이상만 다운로드 받을 수 있지만, 이는 성인 콘텐츠 검색 능력 때문이지 AI 기능과는 무관한 조치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