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환율 급등하고 외국인 채권자금은 3개월째 순유출

2월 채권자금 5.2억 달러 순유출

달러 3.5% 오를 때 원화 6.8% 절하

서울 명동 하나은행 본점에서 직원들이 미 달러를 체크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명동 하나은행 본점에서 직원들이 미 달러를 체크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2월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이 5억 달러 넘게 빠져나가면서 3개월째 채권자금 이탈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b·연준) 통화정책 불확실성에 주요국 환율이 일제히 급등한 가운데 원화 가치가 가장 가파르게 하락하는 등 금융·외환시장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2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2월 외국인 채권자금은 5억 2000만 달러 순유출됐다. 지난해 12월(-27억 3000만 달러)에 이어 역대 최대 순유출을 기록한 올해 1월(-52억 9000만 달러)에 이어 3개월째 순유출이다. 한은은 “공공자금의 유출세 둔화, 차익거래유인 확대에 따른 일부 기관의 투자자금 유입 등으로 순유출 규모가 크게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주식자금은 중국 경기 회복 기대 등 영향으로 7억 달러 유입되면서 순유입세를 이어갔다. 다만 유입 규모는 1월(49억 5000만 달러) 대비 큰 폭으로 축소됐다. 주식·채권자금을 합친 증권투자자금은 1억 8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순유입 전환했다. 올해 1~2월 합산으로는 1억 6000만 달러 순유출이다.

미국 고용·물가 지표가 예상치를 넘은 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최종금리 상향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원·달러 환율은 큰 폭 상승했다. 외국인들의 역외 차액결제선물환(NDF)도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원·달러 환율은 1월 말 1231.9원에서 8일 1321.4원으로 6.8% 올랐다.

특히 원화는 미 달러화 강세 폭 대비 큰 폭으로 절하됐다. 같은 기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DXY)는 3.5% 상승했다. 일본 엔화(-5.3%), 영국 파운드화(-3.9%), 유로화(-3.0%) 등 선진국 통화보다 큰 폭 움직였다. 문제는 미·중 갈등으로 약세를 보인 중국 위안화(-2.9%),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는 남아공 란드화(-6.3%) 등 신흥국보다도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났다. 원화보다 약세를 보인 통화는 러시아 루블화(-7.7%) 정도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