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부실채권 VS 예금자산…"위기촉발 도화선 달라"

[SVB 파산 후폭풍]리먼사태와 차이점은

금융위기 이후 은행 체질 개선

美 발빠른 대응도 불행중 다행

2008년 리먼브러더스 붕괴 당시 주가가 급락하자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실망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AP연합뉴스2008년 리먼브러더스 붕괴 당시 주가가 급락하자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실망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AP연합뉴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이 제2의 리먼브러더스 사태가 될 것인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12일(현지 시간) 주요 외신들은 리먼 사태와 다른 점을 지적하며 전방위적인 위기 가능성은 낮다는 쪽에 조심스럽게 방점을 찍고 있다.




우선 위기를 촉발한 도화선이 다르다. 리먼브러더스는 구조도 복잡한 비우량 주택담보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문제가 된 반면 SVB는 미국 장기국채라는 초우량 안전자산에 투자한 것이 원인이다. SVB는 코로나 기간 동안 늘어난 고객의 예금을 미국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에 투자했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테크 업계의 불황으로 주 고객인 테크 기업들의 예금 인출 요구가 늘어나자 보유 국채 등을 손해를 보고 매각하는 과정에서 문제에 직면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SVB가 투자한 채권은 만기 시 전액 상환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복잡한 구조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와는 전혀 다른 세계”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2008년 금융위기를 경험한 미국 정부가 속도감 있게 대응하는 것도 불행 중 다행인 점이다. 미 정부는 SVB 파산 이틀 만에 예금자의 예금을 전액 보전해주고 유동성이 부족한 금융사에 자금을 대출해주는 파격적인 대책을 내놓았다. 이 과정에서 SVB의 주식과 채권은 보호 대상에서 제외했다. 미 당국은 “이번 조치는 예금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 미국인의 세금을 들여 기업을 살리겠다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향후 있을 정치적 논란을 피해가기 위한 노력도 했다.

금융위기 이후 금융 분야 규제가 강화돼 대형 은행의 체질이 개선된 것도 다른 점이다. 뉴욕타임스(NYT)는 “금융위기 이후 미국 대형 은행들은 위기 상황에 대비해 일정 수준의 예비금을 확보해야 한다는 엄격한 자본 요건과 사업 다각화에 대한 규정이 도입됐다”고 지적했다. 시스템 위기와 직결되는 대형 은행은 강력한 규제 때문에 흔들릴 가능성이 작다는 의미다. 미 하버드대의 케네스 로고프 교수는 “2008년에 비해 경제가 현저히 강한 위치에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 확실히 알 수 없다”고 평가했다.


이태규 기자·실리콘밸리=정혜진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