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핵쓰나미' 공격시 미군 증원 어려워…시험대 오른 한미 작계

[이번엔 '핵어뢰' 공개 무력시위]

北 2021년 이전 핵어뢰 개발 시사

"2년간 50여 차례 최종 시험 주장"

실전배치시 부산항 등 타격 우려

尹 "3축 체계 획기적 강화" 밝혀

수중 등 해상 대응체계 강화해야

북한이 21~23일 실시했다고 주장하는 자칭 '핵무인수중공격정 수중 폭발 시험'에서 핵 어뢰 기폭 장치 폭발의 여파로 보이는 화염이 수면 위에 발생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북한이 21~23일 실시했다고 주장하는 자칭 '핵무인수중공격정 수중 폭발 시험'에서 핵 어뢰 기폭 장치 폭발의 여파로 보이는 화염이 수면 위에 발생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경북 성주에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가 2017년 배치된 이래 처음으로 기지 밖에서 발사대 전개훈련이 진행됐다. 주한미군은 전반기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 한미연합연습과 연계해 사드 원격발사대 전개 훈련을 첫 시행했다고 한미가 24일 밝혔다. 사진은 주한미군의 사드 발사대 훈련 모습. 사진제공=미 국방시각정보배포 시스템경북 성주에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가 2017년 배치된 이래 처음으로 기지 밖에서 발사대 전개훈련이 진행됐다. 주한미군은 전반기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 한미연합연습과 연계해 사드 원격발사대 전개 훈련을 첫 시행했다고 한미가 24일 밝혔다. 사진은 주한미군의 사드 발사대 훈련 모습. 사진제공=미 국방시각정보배포 시스템




북한이 24일 핵 어뢰 기폭 실험으로 추정되는 수중폭발 장면을 공개한 것은 유사시 ‘핵 쓰나미(핵폭발로 인한 해일·지진)’ 공격으로 미군의 한반도 증원을 막을 수 있다는 공개 협박 차원으로 풀이된다. 해상이나 항구 일대에서 수중 핵폭발을 일으키면 대규모 지진해일이 일어나 증원 병력을 실은 미군의 항공모함전단을 집어삼키고 해군기지 등의 접안 시설을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미군의 압도적인 항모전단에 맞서기 위해 러시아가 개발해온 ‘포세이돈’ 핵 어뢰 등을 모방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북한의 핵 어뢰가 실전 배치되려면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지만 향후 실전 배치가 완료될 경우 북한의 남침을 국군 및 주한미군을 통해 방어한 뒤 미군 등의 증원군과 함께 반격해 북진하는 기존 ‘작전계획(작계)’은 상당 부분 무력화될 우려가 있다.

북한이 이날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공개한 핵 어뢰 수중 폭발시험 날짜는 이달 21~23일이었다. 북한은 해당 무기가 ‘핵무인수중공격정’이라고 주장하면서 ‘해일’이라는 명칭까지 공개했다. 그러나 한미에 크게 뒤처진 북한의 잠수함 개발 기술과 국제적 제재로 인한 물자 보급난 등을 감안할 때 선진국조차 실전 배치하지 못한 무인 핵 자폭 잠수함을 북한이 독자 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국내 방산 업계 연구자들은 귀띔했다. 우리 군 당국도 북한이 공개한 이번 무인 체계가 러시아의 핵 어뢰 포세이돈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북한이 발표한 실체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을 두고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이번 수중공격무기를 신형 비밀병기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북한 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핵무인수중공격정 해일’이라고 명명했다고 전했다. 또 지난 2년간 50여 차례의 최종 단계 시험을 거쳤다고 보도했다. 노동당 8차 대회가 열린 것은 2021년 1월 5~12일이다. 이 주장대로라면 북한은 최소한 2년 전에 이미 핵 어뢰의 실물을 개발해 정식 무기 체계의 이름을 붙이고 이후 실전 배치를 위한 성능 검증 시험을 진행해왔다는 뜻이다. 최일 잠수함연구소장은 “수중무인체는 재충전과 회수 기능도 없어 핵 무기를 탑재하고 목표 위치에서 폭발만 하면 되기에 매우 단순하고 실현하기 쉬운 기술”이라며 “특히 발사관에서 쏘는 것이 아니므로 핵무기 탑재도 상대적으로 쉽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북한이 이번에 시험 내용을 공개한 것은 사실상 실전 배치가 임박했다고 협박하려는 차원으로 보인다. 북한은 이번 수중 폭발시험에 대해 "21일 함경남도 리원군 해안에서 훈련에 투입된 핵무인수중공격정은 조선 동해에 설정된 타원 및 '8'자형 침로를 80∼150m의 심도에서 59시간 12분간 잠항하여 3월 23일 오후 적의 항구를 가상한 홍원만수역의 목표점에 도달하였으며 시험용 전투부가 수중 폭발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자신들의 핵 어뢰가 사전 입력된 경로로 은밀히 장시간 수중 항행한 뒤 부산 등의 해군기지를 기습 타격할 수 있음을 주장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속도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평균 속력이 4노트(시속 7.4㎞)라면 사정거리가 400㎞ 이상으로 부산항까지 도달할 것”이라며 “무인수중무기 체계는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어 북한의 주장을 과소 평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러시아의 포세이돈이 핵추진전략잠수함(SSBN)에서 발사하는 핵 추진 어뢰로 2Mt(메가톤·1Mt은 TNT 100만 톤의 폭발량)급의 가공할 파괴력을 지낸 데 비해 북한판 핵 어뢰는 검증되지 않아 초보적 수준으로 추정된다. 포세이돈은 50~60노트(시속 100㎞ 안팎)로 항행할 수 있고 최대 사정거리는 1만㎞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북한 잠수함 수준으로 고려하면 잠수함에서 발사했다기보다는 육상이나 바지선 같은 곳에서 쐈을 가능이 크다”며 “다만 공개된 사진의 크기가 북한 어뢰보다 커 핵탄두 탑재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이 핵 어뢰의 위협을 공공연히 밝힌 24일은 서해수호의 날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무모한 도발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냈다. 아울러 “우리 정부와 군은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와 도발에 맞서 한국형 3축 체계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한미·한미일 안보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이 언급한 3축 체계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대응 시스템이다. 이는 자위적 차원의 선제 타격인 킬체인, 북한 미사일을 요격하는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사후 대규모 반격을 가하는 대량응징보복(KMPR)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우리 군의 3축 체계는 주로 적의 지상 발사나 해상 발사 핵·미사일 공격을 막는 데 주안점을 둬 수중 핵 어뢰를 막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향후 시급히 3축 체계의 해상(수중·수상)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옆에 ‘핵무인수중공격정’으로 추정되는 수중 발사체가 있다.김정은 국무위원장 옆에 ‘핵무인수중공격정’으로 추정되는 수중 발사체가 있다.


권구찬 선임기자·주재현 기자·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