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하태경 의원 "김남국 36억 원 위믹스의 클레이페이 교환은 자금 세탁"

19일 페이스북에 글 올려 주장

"자금 세탁된 30억 원 현금 확보"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연합뉴스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연합뉴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논란과 관련해 ‘자금 세탁’ 의혹을 제기하면서 검찰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수사를 촉구했다.

하 의원은 19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글을 올려 “김 의원의 수많은 코인 의혹 중에 전문가들도 도저히 이해 못하는 게 하나 있는데 바로 36억 원의 위믹스를 출시 1달도 안 된 클레이페이로 교환한 것”이라며 “애초에 클레이페이는 투자가 아닌 자금 세탁이 목적이었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당시 클레이페이 투자는 다른 코인 투자에서 나타난 패턴과 확연히 다르며 현재 잔존 가치는 4700만 원인데 이마저도 거래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36억 원을 전부 날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의원실에 들어온 제보에 따르면 코인 판에 자금 세탁을 전문으로 하는 주가조작 세력이 많이 들어왔고 클레이페이가 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자금 세탁 과정에 대해서는 "김 의원이 36억 원의 위믹스를 클레이페이로 교환하고, 세력들은 위믹스를 거래소에서 현금화해 일정한 수수료(제보에 따르면 20%)를 제하고 김 의원에게 현금으로 돌려준다"며 "겉으로는 막대한 투자 실패로 보이지만 현실은 자금세탁이 된 30억 원의 현금을 손에 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클레이페이를 만든 세력들은 2달 뒤 세상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며 "완벽한 자금세탁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쪽 세계에선 이러한 과정을 은어로 '설거지'라고 한다"고 덧붙였다.

하 의원은 또 지난해 3월 25일 가상자산거래소의 실명화(트래블룰)가 시행됐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 때문에 김 의원은 '트래블룰' 시행 한두 달 전에 거래소의 코인을 모두 탈중앙화 개인지갑으로 옮긴 것이다. 자금추적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주장했다.

그는 "김 의원은 상임위 회의 중에든 한밤중이든 가리지 않고 코인을 거래하는 중독자다. 이전 재산 신고 금액을 맞추기 위한 10억 원을 제외하곤 대부분 현금화하지 않고 재투자했다"면서 "(클레이페이로 교환한 36억 원은) 애당초 김 의원이 돈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며 "당시는 대선 기간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금세탁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김 의원이 교환했다는 위믹스의 현금화 경로와 클레이페이를 만든 세력을 추적해야 한다. 클레이페이 자체가 자금세탁이 목적이었다면 규모가 예상보다 더 커질 수도 있다"며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