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中 마이크론 제재에 대통령실 "미중 간의 문제, 협의보며 대응"

대통령실 핵심관계자 브리핑 통해 전해

野 '노란봉투법'엔 "일방적 입법 강행"

尹, 우크라 방문 보도엔 "부정확 보도"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 현안 브리핑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25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5.25 kane@yna.co.kr (끝)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 현안 브리핑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25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5.25 kane@yna.co.kr (끝)





대통령실은 중국이 미국 반도체 업체인 마이크론을 제재한 데 대해 “기본적으로 미국과 중국의 문제”라고 25일 밝혔다. 미국은 중국이 자국 반도체업체인 마이크론을 규제한 것을 두고 “동맹과 대응하겠다”고 했는데 대통령실은 선을 그은 것이다.

관련기사



대통령실 핵심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중국의 마이크론 제제와 관련해 이같이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 의회에서 나온 입장은, 우리도 정치권에서 다양한 입장이 나오듯이 (미국)지역구의 사정이라든지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라며 “미국과 중국이 어떻게 협의해나가는지 보면서 우리도 그에 맞춰 잘 대응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24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우린 중국 조치로 야기되는 반도체 시장의 왜곡에 대처하기 위해 G7 내부의 우리 동맹 및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며 "우린 강압적인 경제적 관행에 지속해서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 21일 마이크론 제품에서 심각한 보안 문제가 발견돼 안보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며 이 회사 제품 구매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는 일본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폐막일에 맞춰 나왔다.

대통령실은 야당이 노조의 파업으로 발생한 손실에 대해 사측의 무분별한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노란봉투법’을 강행 처리할 경우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을 열어뒀다. 핵심 관계자는 “국회에서 절차가 끝나면 해당부처와 당, 관계되는 여러 단체들의 의견을 잘 수렴해서 결정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언론에서는 (야당에 대해) ‘입법 폭주’라는 표현을 썼는데 일방적인 입법 강행에 대한 것이 문제의 시작이 아닌가 싶다”라고 덧붙였다.

일본 언론에서 윤 대통령이 7월 우크라이나를 방문할 수 있다는 보도를 한 데 대해서는 “정확하지 않은 보도”라고 일축했다. 후쿠시마 오염수와 관련해 일본에서 활동 중인 시찰단과 관련해서는 “26일까지 활동하고 귀국해서 국민들에게 보고하는 행사가 있을 것”이라며 “그 이후에 대통령실이나 추가로 조치할 입장이 있으면 하겠다”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