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시론]신임 한전 사장 앞에 놓인 2가지 과제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한국전력이 차기 사장 선임 절차를 시작했다. 신임 사장은 40조 원이 넘는 적자를 해소하고 탄소중립으로 가는 전력산업의 기틀을 세워야 한다.

한전의 단기 전망은 어둡다. 적자 해소는 물론 200조 원에 이르는 부채도 줄여야 한다. 장기 전망은 밝다.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략의 한 축은 전기 이용의 확대와 무탄소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생산이다. 2021년 발표된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르면 2050년에는 적어도 지금의 2배 이상의 전력수요가 예상된다. 한전의 기업 규모가 커질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쉽지 않은 장애물을 넘어야 한다.



정부는 한전의 적자 해소를 위해 전기요금을 인상하고 있다. 전기요금 인상으로 적자를 해소한다고 하더라도 한전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2가지 더 있다.

관련기사



우선 송전망을 확충해야 한다. 우리나라 송전망은 이미 꽉 찼다. 원전이든 재생이든 송전망 확충 없이는 전력 생산을 더 늘릴 여유가 없다. 동해안을 따라 건설 중인 강릉·삼척 화력발전소와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한 울진 원전의 전기를 수요지로 보내려면 지금 짓고 있는 고압 직류송전 외에도 추가 설비가 필요하다. 호남 지역에 집중된 태양광 발전 역시 송전 능력 부족으로 출력조정이 요구되고 있다.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에 따르면 송전망 확충을 위해 2036년까지 무려 56조 원이 든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훨씬 더 막대한 송전망 확충과 재원이 필요하다. 송전 사업에 민간 참여를 허용해야 할 이유다.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발전사업 개편도 해야 한다. 한국수력원자력을 제외한 5개 발전사의 주력은 석탄화력이다. 이들 화력발전 자회사의 설비용량은 51GW로 우리나라 화력발전의 72%에 이른다. 석탄화력은 2050년 퇴출돼야 한다. 일부를 가스발전으로 전환할 수는 있지만 가스발전이 주력이 되기는 어렵다. 유럽연합(EU)의 친환경 분류기준인 ‘택소노미’는 가스발전이 2035년 이후에는 현재 수준의 20% 이하로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낮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금부터 변신을 모색하지 않는다면 한전은 물론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장래가 어둡다. 여기에 드는 비용은 추산조차 못 하고 있다.

화력발전사가 100% 재생에너지 기업으로 변신하기는 어렵다. 재생에너지와 화력발전은 공유하는 것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화력발전사의 탈출구는 원전에 참여하는 것이다. 화력발전과 원전은 원자로를 빼고는 유사점이 많다. 화력발전사들이 원전에 참여해 기업의 연속성도 살리고, 원전의 이익을 재생에너지에 투자해 탄소중립 에너지 기업으로 변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기에 소형모듈원전(SMR)을 이용할 수도 있다. 빌 게이츠가 미국 와이오밍주에 추진하는 제4세대 소형모듈원전인 나트륨 원전도 화력발전을 대체하는 것이다. 소형모듈원전에 관심있는 민간기업도 많다. 민간기업과 협력해 재원을 조달하는 것도 변신에 필요한 자금부담을 줄이는 방법이다.

한전은 지금 창사 이래 최대의 재무위기에서 벗어나는 것은 물론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조류에 대응하기 위해 변신이 필요하다. 신임 한전 사장이 주목받는 이유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