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양대노총 독점 '끝'… 서울시노동자복지관 민간에 개방

서울시노동자복지관·강북노동자 복지관 개방

위탁 운영 기관 이달 중순부터 공개 모집

서울시 강북노동자복지관 전경. 사진 제공=서울시서울시 강북노동자복지관 전경.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양대 노총에서 장기간 위탁 운영 방식으로 운영해온 노동자복지관 2곳을 다른 민간단체에 개방한다. 노동자 복지 증진을 위한 시설임에도 노조 사무실로 주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을 반영한 조치다.



서울시는 영등포구 서울시노동자복지관과 마포구 강북노동자복지관을 위탁 운영할 기관을 이달 중순 공개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서울시가 노동자복지관 민간 위탁을 위해 서울시의회에 제출한 동의안이 이날 본회의를 통과하자마자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

관련기사



서울시노동자복지관은 1992년부터 한국노총이, 강북노동자복지관은 2002년부터 민주노총이 각각 31년, 21년간운영해왔다. 첫 입주 후 2∼3년마다 수의계약 형식으로 연장했다. 시는 전문성 있는 기관의 참여를 위해 사전설명회 이후 심사를 거쳐 9월 말 신규 기관과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지자체 최초로 노동자복지관 관리·운영 전반을 규정한 ‘서울시 노동복지시설 운영지침’을 제정했다. 노동자복지관 입주 단체와 시설은 모두 공개 모집으로 전환하고 공간선정위원회에서 최종 선정해 투명성을 높일 예정이다. 복지관별 입주 가능 면적도 최대 240㎡로 제한해 취약노동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늘리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양대 노총의 장기간 독점 운영으로 노동자복지관이 노동자 지원시설이 아닌 노동조합 지역본부와 산하 노동단체 전용공간 등으로 변질된 측면이 있다”며 “서울시노동자복지관을 노조 사무실이 아닌 노동 취약계층의 복지 공간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