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7개 부처 대변인의 직급을 2급에서 1급으로 상향 조정하기로 하면서 각 부처는 새 대변인 찾기에 한창이다. 그런데 부처마다 ‘1급 대변인’을 바라보는 시선이 미묘하게 다르다.
대변인 직급이 1급으로 올라가는 부처는 기획재정부·교육부·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 등 7곳이다. ‘홍보 강화’가 목적인 만큼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업무를 맡고 있는 부처를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변인 직급 상향을 위한 부처별 직제 시행규칙 개정안은 입법 예고를 거쳐 이달 말 시행될 예정이다. 각 부처는 해당 시기에 맞춰 대변인을 임명하기 위한 사전 작업을 진행 중이다.
원래 대변인은 승진을 위한 요직처럼 인식돼왔다. 국장(2급)에서 실장(1급) 승진을 하려면 정무적 감각을 키우기 좋은 대변인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암묵적 규칙도 있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대변인이 1급으로 승격됨에 따라 대변인 이후 실무 실장을 맡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흘러나온다.
기재부의 경우 대변인을 맡게 되면 예산실장·세제실장 자리를 눈앞에서 놓칠 수 있다는 불안이 적지 않다. 한 관계자는 “예산실과 세제실 사이에 칸막이가 높은 상황에서 대변인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산업부·복지부 등의 기류는 사뭇 다르다. 산업부만 해도 산업과 통상·자원 사이에 인사 교류가 활발한 만큼 초임 실장 시절 대변인을 맡고 이후 실무 실장으로 넘어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복지부도 복지를 담당하는 이기일 1차관의 직전 보직이 보건을 담당하던 2차관일 만큼 칸막이가 없다는 평이다. 한 과장은 “아마 초임 실장이 대변인으로 갈 것 같다”며 “아무래도 부처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자세히 알 수 있는 만큼 관심 있는 국장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