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흘간 570㎜ '물폭탄'…한달 내릴 장맛비 한꺼번에 쏟아졌다

13일부터 누적 강수량 청양 570㎜·공주 511㎜·문경 485㎜

전국이 평균 훌쩍…지난달 25일 이후 중부 489.1㎜·남부 472.9㎜

16일 오후 경북 예천군 감천면 벌방리 산사태 현장에서 주민들이 피해를 입은 마을에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16일 오후 경북 예천군 감천면 벌방리 산사태 현장에서 주민들이 피해를 입은 마을에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마에 접어든지 3주 만에 전국에 400㎜ 넘는 ‘물폭탄’이 쏟아졌다. 이는 평년 장마철 강수량을 훌쩍 넘어선 것이다.



16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장마철에 돌입하고 이달 15일까지 3주간 중부지방에 평균 489.1㎜, 남부지방에 평균 472.9㎜, 제주에 평균 307.7㎜ 비가 왔다.

평년(1991~2020년 평균) 장마철 강수량(중부 378.3㎜·남부 341.1㎜)보다 중부지방은 29.3%, 남부지방은 38.6% 많은 비가 내렸다. 제주는 평년치(348.7㎜)의 88.2% 수준이다.

평년 장마 기간은 중부지방 31.5일, 남부지방 31.4일, 제주 32.4일인데 올해의 경우 이미 3주간 강수량이 평년 장마철 강수량을 넘어선 것이다.

데이터 제공=기상청데이터 제공=기상청


주요 지점 누적(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5일 밤 12시까지) 강수량은 제주 한라산 삼각봉 1131.0㎜, 충남 청양군 정산면 913.5㎜, 경북 영주시 이산면 904.5㎜, 경북 문경시 동로면 864.5㎜,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862.0㎜, 전북 장수군 819.5㎜, 전남 구례군 성삼재 820.5㎜, 전북 군산시 790.1㎜, 광주 747.7㎜ 등이다.

특히 이번에 수해를 입은 지역 가운데 자동기상관측장비(AWS)가 설치된 문경과 청주의 최근 30년 기록을 보면, 문경은 평균 장마 기간 31.3일 동안 비가 365.6㎜ 내렸고 청주는 평균 장마 기간 31.0일에 비가 344.7㎜ 내렸다.

그래픽=연합뉴스그래픽=연합뉴스




호우가 집중됐던 지난 13일부터 이날 오후 4시까지 문경 동로면에는 485.5㎜, 청주 상당구에는 474.0㎜의 비가 내렸으니 각각 평년 장마철 강수량보다도 32.8%, 37.5%씩 많은 비가 불과 사흘여 만에 내린 셈이다. 청양 정산면에는 무려 570.5㎜, 공주 금흥동 511㎜, 익산 함라면 499.5㎜, 세종 새롬동 486㎜, 군산 내흥동에도 480.3㎜에 달하는 비가 사흘여 만에 쏟아졌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장마철 강수량은 중부지방을 기준으로 이미 최근 10년 사이 4번째로 많다.

관련기사



지난달 25일부터 지난 15일까지의 전국 강우량. 데이터 제공=기상청지난달 25일부터 지난 15일까지의 전국 강우량. 데이터 제공=기상청


문제는 비가 더 내릴 것이라는 점이다.

이날 오후 1시 기준 강원남부내륙·산지와 충청권, 남부지방, 제주도에 호우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전남권과 경남권에는 시간당 20∼50㎜의 매우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기상청 중기예보에 따르면 19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지속해서 내리고 20~21일은 제주를 제외하고는 소강상태에 들어갔다가 22~24일 다시 전국에 비가 오고 25~26일에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짧은 시간 비가 집중적으로 퍼붓는 점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지난 13일 전북 군산 어청도에는 시간당 48㎜, 14일 신안 임자도에 시간당 63㎜, 전날 구례 성삼재에 시간당 57㎜, 이날 신안 장산도에 시간당 55㎜의 비가 내렸다.

기상청은 시간당 강수량이 30㎜ 이상인 비를 '매우 강한 비'라고 표현하는데 이를 넘어서는 수준의 비가 내린 것이다. 1시간 누적 강수량이 50㎜ 이상, 3시간 누적 강수량이 90㎜ 이상이면 '극한호우'라 부른다.


김태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