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김주현 금융위원장 "금융사 스스로 보안 리스크 평가…'자율-책임' 규제로 전환"

제12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 세미나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금융보안원 주최로 열린 ‘제12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초청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금융위원회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금융보안원 주최로 열린 ‘제12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초청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금융보안원 주최로 열린 ‘제12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초청 세미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금융회사 CEO 등과 금융보안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민·관 소통과 협력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됐다.



세미나에서 김 위원장은 “금융의 디지털 전환은 금융의 효율성과 소비자에 대한 편리성 제고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금융보안 측면에서는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며 “여러 국제금융기구들도 이구동성으로 디지털 위협요인에 대한 대응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 위원장은 “다만 디지털 금융의 복잡·다양성, 사이버 공격의 고도화·지능화 등으로 인해 사이버 사고를 사전적으로 원천봉쇄하는 건 쉽지 않다”며 “최근 국제결제은행(BIS)은 금융 분야에서의 보안 정책이 리스크의 접근과 통제에 집중했던 1세대 규제에서 복원력 확보를 우선으로 하는 2세대 규제로 진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정부가 추진할 금융 보안 정책으로 △규칙 중심의 경직적 보안 규율체계에서 ‘자율-책임’ 기반의 탄력적인 원칙 중심 규율체계로의 전환 △보안 거버넌스 체계 구축 △관리 사각지대 해소 및 금융회사 보안관리 역량 강화 지원 등 3가지를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회사 등이 스스로 보안 리스크를 분석·평가하고 리스크에 비례한 보안 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자율적인 보안체계 구축을 지원하겠다”며 “CISO 권한 확대, 중요 보안사항의 이사회 보고 의무화 등으로 금융보안을 기업경영전략의 핵심으로 자리잡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 제3자 서비스 이용에 따른 리스크 관리 방안과 보안사고 후 운영복원력 강화 방안 등 그간의 관리 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금융보안에 기여한 금융회사 유공자에게 금융위원장 표창을 했다. 이승열 하나은행장, 윤성범 미래에셋증권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 조성옥 삼성화재 CISO, 박기석 신한카드 CISO,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다섯 명이 표창을 받았다.


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