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SEN]경남제약"AI기반 전자약 개발 박차…시장 선점"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경남제약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김재영 단장),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변중무 단장),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오하령 단장)과 ‘AI 기반 수면 치료 전자약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통해, 차세대 치료제인 전자약(Electroceuticals)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국민대(이승민 전자공학부 교수)와 한양대(임창환 바이오메디컬공학 교수) 연구진은 각각 뇌파 측정 기기의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고 서울대(정기영 신경과 교수)는 임상 및 평가를 수행하다.


산학협력단 관계자는 이번 연구에 대해 “기존 수면치료 장비들이 신체에 장비를 착용해야 해 수면 시 불편함이 있었던 반면 본 치료제는 사용자가 자각하지 못하는 수준의 스티커 형태의 피부 부착형 패치를 이마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뇌파 측정이 이뤄지고 이를 AI 알고리즘에 적용해 수면 모니터링 및 수면 질 개선이 가능하다” 라고 설명했다. 또한 “전기자극(tACS, tDCS 등)을 이용한 신경 조절 기술과 접목해 수면 유도 및 강화를 시켜주는 수면장애 치료 기기 개발이 목표로 기존 전자약은 치료만 하고 모니터링은 불가하였지만, 이 기기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피드백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차세대 치료제로 불리는 전자약은 전자기적인 자극을 신체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관련 질환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 약물 대체 치료법으로 전자(Electronic)와 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이다.

경남제약 관계자는 “국내 AI 전자약 개발 권위자 연구진들과 공동개발을 진행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이번 공동개발과 더불어 다수의 전자약과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검토 중으로 앞으로도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에 적극 참여하여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리포트 & 데이터에 따르면 글로벌 전자약 시장은 2018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8.5% 성장해 380억 달러(약 44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hyk@seadaily.com


김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