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5대 은행, 상반기 부실채 손실처리·매각 2.2조…작년의 2.2배

지난해 연간 상각·매각 규모 육박

6월말 연체율·NPL비율 동반하락

일각에선 "건전성 안심하기 일러"

/연합뉴스/연합뉴스




지난달 국내 대형 은행들의 대출 채권 연체율이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회수가 불가능한 대출 채권을 손실 처리하거나 손실을 보고 매각한 데 따른 영향이 큰 만큼 실제 은행들의 건전성은 겉으로 보기보다 심각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6월 말 기준 연체율은 0.29%로 전월(0.33%)보다 0.04%포인트 하락했다.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같은 기간 0.3%에서 0.25%로 0.05%포인트 내렸다. 지난달 국내 은행들의 연체율과 부실채권 비율이 동반 하락한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매 분기 말은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상각하거나 매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안심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5대 시중은행은 올 상반기에만 부실채권 2조 2130억 원어치를 손실 처리하거나 자산 유동화 회사 등에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9907억 원)의 2.2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연체율이 낮아진 6월 한 달 동안 5대 은행은 1조 2646억 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했다. 올 상반기 상·매각 부실채권의 60%에 달하는 규모다.

관련기사



대개 은행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 채권을 ‘고정 이하’ 등급의 부실채권으로 분류하고 회수 가능성이 낮아지면 손실 처리(상각)하거나 외부 기업에 손실을 보면서 매각한다. 이렇게 될 경우 기존에 장부상 잡혀 있던 부실채권 규모가 줄어들고 은행 건전성 지표도 개선된다. 대출채권 상·매각 규모가 커지게 되면 은행의 건전성 지표는 개선되지만 수익성은 결국 악화한다. 대출을 해주고 이자를 받아 수익을 내는 구조인 은행 입장에서 수익원이 사라지는 셈이기 때문이다.

이미 상반기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가 지난해 연간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2조 2713억원)과 비슷한 수준까지 늘었지만 문제는 올 하반기다. 은행들은 현재 연체율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지만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데다 부동산 시장 침체도 이어지고 있어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은 맞다”며 “경기 침체로 자영업자, 중소 법인의 상황이 악화하고 있고 부동산 등 자산 가치도 하락하면서 연체율 상승 압박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