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기업들 광물 확보 위해 동분서주, 민관 ‘원팀’으로 자원 영토 넓혀라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서 광물·원유 등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5일 인도네시아 정부 등과 자바섬 동쪽에 위치한 붕아 광구의 생산물 분배 계약을 체결했다. 붕아 광구는 서울시의 14배 크기인 총면적 8500㎢의 대형 광구로 13억 배럴 규모의 천연가스 등이 매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광구 운영권과 함께 6년의 탐사 기간과 30년의 개발·생산 기간을 보장받았다. 포스코그룹은 2018년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와 호주 리튬 광산 지분을 인수하는 등 해외 자원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도 24일 캐나다 광물 업체 일렉트라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황산코발트를 향후 5년간(2025~2029년) 공급받는 계약을 맺었다. SK온은 지난해 호주·칠레 업체와 잇달아 리튬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영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자원 확보는 경쟁력 확보 및 안보와 직결되는 중대 현안이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의 자원 개발률은 2021년 기준 10.7%에 불과하다. 자원 개발률은 자원 수입량 중 자국 기업이 국내외에서 개발·확보한 물량의 비중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다는 뜻이다. 자원 개발률이 저조한 것은 해외 자원 개발을 정치 논리로 접근한 과거 정부의 잘못된 정책 때문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해외 자원 개발 사업을 아예 ‘적폐’로 낙인찍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한국광해광업공단(전 한국광물자원공사)은 호주 물라벤 유연탄 광산, 칠레 산토도밍고 구리 광산 등 애써 확보한 해외 광산들을 줄줄이 내다 팔았다.

관련기사



세계 주요국들은 에너지와 광물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 주요 7개국(G7)은 핵심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수입 비율의 목표를 설정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동남아·중남미·아프리카 등의 광물 자원 부국에 대한 공동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자원 전쟁에서 살아남으려면 민간 기업의 힘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정부와 공기업, 민간 기업이 ‘원팀’을 꾸려 해외 자원 개발에 적극 나서 자원 공급 기지를 다변화하는 등 자원 영토를 넓혀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